.

Goethe Harzreisen (D-3) - 괴테 하르츠지방 여행

하르츠지역은 Niedersachsen, Sachsen-Anhalt 및 Thueringen의 3 주에 속해 있는 지역으로 숲이 많으며 북독의 최고봉인 Brocken (1114m)가 중심에 있어 여름에는 등산 겨울에는 스키 등의 운동을 즐길 수 있는 관광 휴양지로 알러져 있다.

괴테가 이 지역을 여러 번 여행을 함으로 유명하여졌으며, 문학적인 큰 획득을 했다. 광산장관으로 괴테는 1777년에 처음에 하르츠 지역을 방문하고 광산을 시찰했다.  이 지방에 가장 큰 도시는 고슬라 이다.  

1차 Harz여행: 1777년 겨울 (11월과 12월)

괴테는 1777년11월29일 말을 타고 존더하우센(Sonderhausen), 노르트하우센(Nordhausen), 일펠트 (Ilfeld, 당시는 수도사 여관, 오늘날에 ‘ Goldene Krone’에 11월30일 유숙), 아일빈거로데(Eilbingerode, 12월1일과 2일)를 거처서 붸르니거로데(Wernigerode)에 와서 12월3일과 4일을 체류했다. 여기서 그는 젊은 신학자인 플레씽 (Flessing, Friedrich Victor Lebrecht)을 신분을 밝히지 않고 방문했다.

그는 고슬라(Goslar, 12월4-6일))와 클라우스탈(Clausthal, 12월7-8일)를 거처서 알테나우(Altenau)에 갔다. 여기서 12월9일 1박을 하고 12월10일에는 토르프하우스(Torfhaus)의 살림직이 데겐(Degen) 씨와 함께 브로켄(Brocken, 1142m로 북독에서 제일 높음) 산에 올랐다. 파우스트에 [Beschreibung der Walpurgisnacht]는 아주 주요한 역할을 한다.  

12월13일에  그는 시 [Harzreise im Winter]를 썼다.

       (c)Wikipedia - Harz 지방 최고 Brocken (1142m) 산의 아름다운 겨울 풍경

.

이날은  Torfhaus에서 1박을 하고 다음날 저녁에 Clausthal로 돌아와서 12월11일을 유숙했다.

12월12일 Weimar 귀가 길에 올랐는데 쌍트 안드레아스베르크 ( St. Andreasberg, 12월12일)와 바트 라우터베르크 (Bad Lauterberg)와 두더슈타트(Duderstadt, 12월13일 유숙)를 거처서 뮐하우센 (Muehlhausen)까지 말을 타고 도착했다. 여기서 12월14일 1박을 하였다. 이 곳에서 에어푸르트(Erfurt) 까지 계속 마차로 왔으며 12월15일에 여기서 공작과 그의 산양일행을 만나기로 하였다.

.

2차 Harz여행: 1783년9월6일부터 16일까지

할버슈타트(Halberstadt)에서 괴테는 작센-봐이마르의 안나 아마리아 공작부인을 배웅하기 위해서 한 여행이다. 이 공작부인은 브라운슈봐이크(Braunschweig)의 친척 집에서 돌아오는 길이었다.

괴테는 프릿츠 폰 슈타인 (Fritz von Stein)와 함께 9월9일과 10일에  Halberstadt 근처에 있는 랑겐슈타인   (Langenstein) 성에 도착해서 유숙했다. 공작부인은 9월15일에야 도착할 예정이어서 날씨도 좋고해서 Harz지역에 소풍을 했다. 9월11일에 블란켄부르크(Blankenburg)를 방문해서 Fritz von Stein과 함께 하로 밤을 지냈으며 9월12일에 Baumannshoehle와 귀벨란트(Ruebeland)에 있는  마르모아그뤼케 (Marmorbruecke)를 방문했다.

9월13일에 괴테는  Halberstadt에 와서 공작부인을 영접했으며, 일행은 여기서 9월17일까지 체류했다. 9월18일에 Goslar를 지나서 클라우탈-첼러펠트(Clausthal-Zellerfeld)에 도착하여 3박을 유숙했다. 1783년9월21일에는 그와 트레브라(Trebra) 광산의 부책임자와 함께  Brocken 산에 올라갔으며 하인리히회헤(Heinrichshoehe)에 1박을 했다. 9월22일에는 쉬르케(Schierke)와 엘렌트(Elend)를 지나서   St. Andreasberg에 1박을 하고 첼러펠트(Zellerfeld)에 돌아와서 9월25일까지 3박을 했다. 9월26일에 Fritz von Stein과 함께 Harz지방을 떠나서 괴틴겐(Goettingen)으로 그리고 마지막으로 카쎌(Kassel)과 아이세나흐(Eisenach)를 지나서 Weimar에 돌아왔다.

이 여행에서는 특히 색채론과 하르츠의 식물에 대해서 많은 흥미를 가졌다. 

3 Harz여행: 178488일부터 916

괴테는 이 3차 여행을 [2차 여행]에서 체 1년도 되기 전에 시도했다. 이 여행은 지질학과 광석학의 연구에다 광산과 제철소의 시설을 시찰하기 위해서였다. 그는 공작과 함께 Braunschweig에 공식방문을 하였으며, 수행원으로 제도가, 화가 및 동판조각사 등이 이었다.

여행 일행은 1784년8월8일에 뮐하우센(Muehlhausen)을 지나서  딘겔슈태트 (Dingelstaedt)에 도착해서 투숙을 했다. 다음날 라이네펠데(Leinefelde)와 Duderstadt를 지나서 Bad Lauterberg에서 8월9일을 체류했다. 그리고 괴테는 8월10일에 샤르츠펠트(Scharzfeld), 헤르츠베르크 (Herzberg), 오스테로데 (Osterode)를 거처서 Clausthal-Zellerfeld에 도착해서 8월15일까지 체류했다. 여기서부터 바트 그룬트 (Bad Grund)에 있는 뷜데만(Wildemann)을 방문하였으며, 8월13일에는 공작과 함께  카로린(Caroline)과 도도테아(Dorothea)의 묘를 방문하고, 8월15일에는 그의 수행원들과 함께  Goslar에 들여서 1박을 했다. 이곳은  Braunschweig로 가는 도중에 있었다. Braunschweig에는 2주간 국가 방문을 하였다.

귀가 길에 즉 9월 1일에 Goslar를 다시 들여서 2박 체류하고,  9월3일에 오커(Oker)를 거처서 Heinrichshoehe에 1박을 하고 , 9월4일에 3번째로  Brocken 산에 올랐다. 이 길은 오늘날 ‚괴테 길‘로 명명(命名)되었다. 괴테는  Elbingerode 에 2박을 하였다. 이 Harz여행의 다른 숙영지 (宿營地)로 붼데푸르트(Wendefurt, 9월7일), 탈레(Thale, 9월8일)와 나인슈테트(Neinstedt, 9월10일) 를 둘 수  있으며, 여기서 1784년9월11일에 Langenstein 성에 도달하여  2박하고 9월14일에 Weimar로 오게 된다.

이 3차 여행 후에 문학적으로 많은 것을 썼다.

= = =

.

     (c)Wikipedia - UNESCO 세계유산로 지정된 Goslar의 Rammelsberg 광산 입구 모습       

주요 도시의 홈페이지

Goslar (고슬라) – UNESCO 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도시]  

인구 4만명으로 이 지역에서 가장 큰 도시이며, 황제의 도시, 제국의 도시 및 한자도시로 Harz지역 서북 쪽에 위치하며 Niedersachsen 주에 속한다. 오래 전부터 이곳에는 아름다운 많은 교회와 건축물 그리고 [독일 황제들의 보고]로 또는 [북쪽의 로마]로 불리어질 정도로 특징이 있다. 고슬라는 [람멜스베릌 광산과 함께1992년에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www.goslar.de/tourismus

.

구 시가와 마르크트광장 (Altstadt-Marktplatz): 구 시가의 중심지에 아름다운 마르크트 광장 있다. 또 여기에는 시 청사가 있으며 15세기 말에 건축된 Kaierworth 건물은 재단사의 조합건물로 이용되었으며 지금은 호텔로 이용된다.      

황제의 거성 (Kaiserpfalz): 1005 – 1015년 사이에 황제 하인리히 2세의 치하에서 건축이 되었는데 지금의 건물은 19세기에 개조되었다. 황제의 홀 (Kaisersaal)에는 독일 역사에 있어서 중요한 행사가 서술된 그림이 있다.

고슬라 박물과 (Goslarer Museum): 시의 남쪽에 위치한 이 박물관은 시의 역사를 전해주고 있다. 11세기에 만들어진 동제 성(聖) 유물 제단 [Krodoaltar]은 시의 보물에 속한다.

람멜스베르크 (Rammelsberg) 광산: Harz산지 해발 635m의 광산에 1000년 이상 전부터 채굴이 되었다. 유럽 굴지의 역사를 갖는 이 광산은 고슬라 구시가와 1992년에 [UNESCO 세계유산]에 등록되었다.  

Harzcard / www.harzcard.info

= = =

하르츠 산지의 볼만한 곳/도시

Bad Harzburg (하르츠부르크 온천)

하르츠 지방에서 가장 큰 온천장으로 [성 안드레아 교회] (St. Andreaskirche)가 유명하다.

Clausthal-Zellerfeld (클라우스탈-첼러펠트)

요양 및 겨울 스포츠 방문객이 많이 찾는 곳으로 공과대학 소재지이다. 광산박물관이 있다. 주의 상부 하르츠에는 많은 작은 호수들이 산재하고 있다.

St. Andreasberg (쌍트 안드레아스베르크)

해발 630m에서 900m의 높이에 위치하는 하르츠 지방에서 가장 높은 지점에 이루어진 도시로 요양과 거울 스포츠지로 유명하다.

Brocken (브로켄)

1114m의 높이로 하르츠 지방에서 가장 높은 곳일 뿐만 아니라 북 독일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그리고 이 정상에 올라오는 다양한 코스가 있으며 괴테가 방문한 길이 [괴테의 길 (Goethe-Weg)]로 산책 코스로 개발 되었다. 올라 가는 마을로 Bad Harzburg, Ilsenburg, Torfhaus, Schierke 등이 있다. 그리고 [Drei Annen Hohne]에서 등산철도 [Brockenbahn]을 이용하여 올라 갈 수 있으며, 정상에서는 주위 125km의 광활한 전망을 즐길 수 있다. 1990년부터 Sachsen-Anhalt 주에서, 1994년에는 Niedersachsen주 쪽에서 [국립 공원지대]로 지정하여 보호지역으로 하였다.  / 

     

Quedlinburg (퀴베들린부르크)

작센 공작 Heinrich가 독일 최초의 왕 (919 – 936년)과 더불어 이 도시는 거성 소재지로 발달 되었다. 17세기의 도시 전모(全貌)를 가장 잘 보존하고 있는 도시의 하나이다. 770채 이상의 가옥들이 기념 보호 하에 있는 구시가는 UNESCO 세계유산지로 지정이 되었다. 인구는 약 3만 명이다. / www.quedlinburg.de 

볼만 한 것

Schlossberg

Marktplatz (마르크트 광장): 17 및 18세기의 집들로 둘러싸여 있는 광장은 17세기 초기에 르네쌍스 건축 양식으로  건축된 시청이 잘 보이고 있다.

Fachwerk-Museum (목골/木骨 가옥 박물관): 이 도시에는 14 - 19세기에 지어진 1000채 이상의 역사적인 목골 가옥들이 잘 남아 있다. 이 박물관에는 목골 가옥의 발달과 그 기술의 다양성이 잘 묘사되고 있다. 

= = =

Thale (탈레) – 인구 18‘900 명 / www.bodetal.de   &  www.seilbahn-thale.de

Wernigerode (붸르니게로데) – 인구 34‘300명 / www.wernigerode-tourismus.de 

= = =

.

작성자: 송지열 (Ziyul Song) / www.eurasiatour.info

Facebook (Ziyul Song) / www.facebook.com/ziyul.song

Facebook / www.facebook.com/pages/EurasiatourInfo/122944391155017

.

-

Rheinland-Pfalz (2) - GWT (3)

   (c)KoblenzTourismus - Rhein 강과 Mosel강이 합류하는 곳에 발달한 도시 

독일의 포도재배지역의 총 면적은 현재 약 10만 ha로 전후에 약간씩 증가하고 있었다. 그 중 64%가 화이트와인용 품종들이고 나머지 36%가 레드와인용이다. 일년에 생산량은 약 천만 hl이고, 외국으로 수출하는 량은 약  2백 hl뿐이다. 그래서 독일산 와인은 단지 본고장에서만 즐길 수 있는 것이 많다. 독일의 대표적이고 인정된 포도재배지역은 13지역인데 이 중에 대부분이 독일의 서부에 모여 있으며, 포도동산은 라인강과그 지류들의 강유역에 있기에 아름다운 풍경을 구비하고 있어서 관광의 매력도 크다. [와인투어정보]의 편리한 지리적 위치를 고려해서 여러 번으로 나누어 언급한다. / Rheinland-Pfalz Tourismus  / www.rlp-info.de

1) Mosel 모셀) 지역 – 로마인의 유산

모젤강은 고대 로마 도시인 트리어(Trier)의 남쪽에서 시작하여 독일에서도 유명한 포도밭에 덥혀진 점판암의 급경사면 사이를 구불구불 돌면서 코블렌츠의 북쪽에서 라인강과 합류한다. 모젤강과 그의 지류인 자아르(Saar)와 루버(Ruwer)강 유역의 와인은 향기가 매우 짙으며 색은 엷고 경쾌하다. 또한 풍부한 과실향과 산미가 강한 것이 특징이다.

이 지역에서 생산하는 고품질의 리슬링(Riesling)은 비교할 수 없는 섬세하고 풍부한 향기 과일의 신맛을 가지며 그의 기저에는 광천수의 맛까지 다양한 것을 감지된다. 트리아(Trier)의 남동지역에는 엘블링(Elbling) 품종의 포도가 재배되고 있으며 아주 신선하고 경쾌한 화이트 와인과 거품이 나는 젝트 (Sekt)가 만들어진다. 모젤지역의 전체 재배 면적은 약9'000 ha로 독일의 포도재배지역에서 5번째로 크다. 

이 지역을 다시 6 구역 즉 [Bereich Moseltor], [Bereich Obermosel], [Bereich Saar], [Bereich Ruwertal], [Bereich Bernkastel], [Bereich Burg Cochem]로 나누어져 있다. 이 포도 재배 중에 90%가 화이트 와인 용이고 단지 약 10%만 레드 와인 용의 포도가 재배된다.

추천할 만한 와이너리는 [Bishofliche Weingueter]이다. 약 150개의 포도원을 갖고 있으며 약 400년 이상 된 지하 양조장이 있다. 이 와이너리의 특징은 세계 여러 나라에 [미사용 와인]을 공급하는 것이며, 가장 훌륭한 포도원과 전통 있는 양조 기술을 겸비하고 있어 세계 각국으로 고품질의 와인을 수출하고 있다. 즉 이곳의 와인은 세계의 와인 애호가들로 또한 높이 평가 받고 있다. 

모젤 포도재배지역의 중심지는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고도 트리어(Trier)이다. 

Mosel Wein e.V. / Trier  / www.weinland-mosel.de 

= = 

Cochem (코헴)

©TouristFerienlandCochem – Cochem의 [Reichsburg 성]과 모셀강의 풍경

모셀강변에 발달한 와인 생산의 중심지의 역할을 하고 있다. 와인과 음식 축제가 개최되는 보양지이다. 또한 수많은 관광객들이 구시가와 유명한 성 [Reichsburg Cochem]을 방문하는 번잡한 분위기를 볼 수 있다. 성의 오픈 시간과 입장료 등에 대한 정보는 다음의 홈페이지를 통해서 얻는다. /  www.reichsburg-cochem.de & Tourist Information Cochem: www.ferienland-cochem.de          

[Bernkasteler-Doktor]는 비교적 작은 규모의 와이너리지만 세계적으로 유명한 포도원을 갖고 있어 그 품질은 세계의 여러 나라 미식가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15세기 지역 교구장인 대주교가 이 와인을 마시고 불치의 병을 고쳤다고 하여 대주교로부터 [배른카스텔의 의사]라는 호칭을 받았다는 기록이 있다. 이 와이너리에서 생산된 와인은 국제 경쟁입찰에서 최고의 가격을 차지하기가 일쑤이다. 슈캐트레세, 아이스레세, 아이스와인 급은 세계 최정상의 맛을 자랑한다. / 주소: Weingut Bernkasteler-Doktor, Bernkaster-Kues

= = =

.

2) Ahr (아르) 지역 – 미식가의 천국(560 ha,12% : 88%) 

Ahr Wine2     (c) German Wine Ins. - [Ahr 계곡]에 재배되고 있는 포도밭의 풍경

[레드 와인의 낙원]이라 불리고 있는 이 지역의 포도밭은 본 (Bonn)의 남쪽에 라인 강과 합류하는 아르 강 유역에 있다. 동부는 현무암으로 구성된 고지, 서부는 스레이트 바위의 협곡이 이어 급 경사면의 웅대한 포도밭을 이루고 있으며, 바트 노이엔아르-아르봐일러 (Bad Neuenahr-Ahrweiler) 라는 우아한 온천 휴양지가 있다.

이 작은 생산지역은 우수한 레드 와인 특히 슈패트부르군더 (Spätburgunder, 일명 피노 누아) 의 산지로서 알려져 있다. 또한 슈패트부르군더 보다 조숙한 프뤼부르군더 (Frühburgunder)라는 드문 품종과 포르투기서가 주요한 레드 와인용이 재배되고 있다. 화이트 와인용으로는 리슬링이 주요 품종이다.

Ahr Rhein Eifel Tourismus & Service GmbH / www.ahrwein.de

이 지역의 와인 홍보 중심도시는 온천도시인 [바트 노이엔아아르-아아르봐일러] (Bad Neuenahr-Ahrweiler)이다. 미식가와 건강을 위한 방문객들이 많으며 이들을 위한 숙박 시설과 다양한 문화행사와 와인을 중심 한 축제들이 많이 개최되는 아름다운 도시이다. 강변과 공원 등 편리한 산책에 좋은 여건을 갖고 있다.

이 중심 도시인 바트 노이엔아르 (Bad Neuenahr)는 레드 와인 생산의중심지인과 동시에 유명한 온천 휴양도시로 많은 건강용 시설이 잘 구비되어 있다. 최신의 현대 시설을 갖고 있으며 전체를 [Ahr-Resort]라고 하며 여기에는 다양한 시설 즉 치료, 미용, 마사지, 사우나 등을 갖고 있다. 특이한 마사지로 포도 씨의 기름으로 하는 마사지를 체험하였다. 아주 인상에 남고 젊은 활력을 주는 느낌을 갖었다.

= = =

.

3) Mittelrhein (미텔라인지역 – 로만틱라인 

DwiMitRhein1   C) GERMAN WINE INST. - [중부RHEIN 포도재배지역]의 아름다운 풍경

[미텔 라인]지역은 라인 강이 가장 드라마틱한 모습을 보여주는 빙겐 (Bingen)에서 본 (Bonn)사이의 라인 협곡에 있는 와인 생산지이다. 라인 강의 흐름으로 슬레이트 암석이 만든 급경사의 협곡은 [미크로 클리메이트] (미세 기후)를 이루어 2’000년 전부터 포도 나무가 자랐다. 중부 라인지역에는 역사를 가진 성의 유적들이 포도밭에 둘려 쌓인 급 경사면과 중세의 마을들이 점재하고 있다. 또한 로렐라이 (Loreley)와 니벨룽겐 (Nibelungen) 등의 전설을 가진 이 지역은 오래 전부터 예술가와 와인 양조자 들에게 영감의 근원이 되었다. 상쾌한 향이 높은 리슬링 품종은 이 지역의 70%를 차지하는 대표품종이다. 이 지역의 포도 재배 면적은 460 헥터로 작은 편이며 이 면적의 75%가 백포도주 용이고 나머지 25%가 홍포도주 용이다. 이 지역은 2 구역 [Bereich Loreley]와 [Bereich Siebengebirge]로 나누어져 있다. /  www.mittelrhein-wein.com 

= = =

Boppard (보파르트) : 보파르트는 미텔라인지역의 중심지로 포도의 집산지 이다. [Vineum(비노임), www.vineum.com]에서는 이 지역뿐만 아니라 독일의 여러 지역 와인을 시음하며 할 수 있다. 시음 행사는 매일 저녁 8시에 거행된다. 보파르트는 유람선의 로렐라이 관광의 주요 출발지이다. 백 년의 전통을 가진 유람선 회사 [Loreley-Linie Weinand, www.loreley-linie.de ]는 600석을 가진 3척의 배로 여러 유람선 관광 코스를 운행하고 있다. / www.boppard-tourismus.de

= =

코블렌쯔 (Koblenz)는 모셀 (Mosel) 강의 하구로 라인 (Rhein) 강과 합하는 지점에 발달한 도시로 교통과 관광의 주요한 도시이다. 그래서 [라인란트-팔츠] 주의 관광 본부의 소재지이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지정된 [중부 라인 계곡의 상류지역] (Oberes Mittelrheintal)의 입구이다.  www.rlp-info.de

2000년을 넘는 역사 중에 코블렌츠는 수 많은 군세의 추이를 보고 왔다. 여러 번을 정복되었으나 활기를 연장시킨 도시로 선제후의 성 (Kurfürstliche Schloss), 정서가 넘치는 슈톨첸펠스 성 (Schloss Stolzenfels), 고전주의 건축의 극장 (Klassizistische Theater) 등 주요한 문화 유산이 당시의 그 모습으로 남아있다.

에렌브라이트슈타인 요새 (Festung Ehrenbreitstein)을 쌓아, 유럽 대륙에 유례가 없는 최강의 발전했으며, 코블렌츠를 조망하는 가장 좋은 곳으로 많은 금액을 투자해서 보유하고 있는 거대한 유산이다. 이 요새는 세계의 군사 역사가 들를 도취시키고 있는, 코블렌츠에서 빠뜨릴 수 없는 관광의 하이라이트이다. 코블렌츠 시가는 라인 강과 모셀 강이 합류하는 배의 머리와 같은 [독일의 모퉁이] (Detusche Ecke)에 건립 되어 있는 초대 독일 황제 빌헤름 1세의 기마상 등이 눈 앞에 펄치는 웅대한 조망을 즐길 수 있다. 이 요새를 쉽게 캐이블 카로 오를 수 있다.

코블렌츠는 독일의 유명 와인 생산지인 모셀 (Mosel)과 중부 라인 (Mittelrhein) 지방의 와인 집산지로 다양한 와인을 즐길 수 있는 도시이다.

Koblenz Touristik :  www.koblenz-touristik.de/en  / www.romantic-germany.info

= =

자료출처: Deutsches Weininstitut GmbH / www.deutscheweine.de

= = =

작성자: 송지열 (Ziyul Song) / www.eurasiatour.info / This email address is being protected from spambots. You need JavaScript enabled to view it.

Facebook (Ziyul Song) / www.facebook.com/ziyul.song

FB (Eurasiatour) / www.facebook.com/pages/EurasiatourInfo/122944391155017

. 

 

.

Sachsen, Sachsen-Anhalt Thueringen (튀링겐)주 - GWT(5) 

.  

       ©Sächsisches Elbland – 봐커바르트 성에 속한 포도원과 와인 양조장 시설

.

1) Sachsen지역 – 엘베강의이탈리아풍

독일의최동단에약 450 ha를갖는가장작은와인생산지역중의하나인엘베강유역의협곡지대에위치하는작센지역이다. 문화적특징과온난한기후로 [엘베강의프로렌스]라고불리는드레스덴과마이쎈이이지역의주요도시이다. 주로급경사면으로된화강암토양의테라스에서재배되고있다. 작센지방의와인은바라이어티가많으나그중에도가장잘알려진것은리봐너, 리슬링, 봐이쓰부르군더인데어디까지나신맛으로팔리고있다. 소량이나리슬링과무스카트계품종의교배인드문골드리슬링이재배되고있다. 이특별한풍종은독일의다른어디에서도찾을수없다. 화이트와레드와인의생산비율은약 80대 20이다. 이지역은2 구역 (Bereich Meissen & Bereich Elstertal)으로나누어있다.

Weinbauverband Sachsen e.V.  /   www.deutscheweine.de

 

봐커바르트 (Schloss Wackerbarth)

봐커바르트는백작으로아우구스트강와의대신이었던사람으로드레스덴근교라데보일 (Radebeul)성과 90ha포도재배밭을갖고있었다. 2002년에현대시설을양조장으로와인과젝트(Sekt)생산하고있다. 여기에는방문이가능하며와인시음장으로, 또한옆에있는성에서는결혼식과연회장으로이용되고있다. 가는방법은드레스덴에서 [S-Bahn 1]방향은 Meissen Triebschtal, Radebeul West하차하여걸어서 15정도면된다.

Sächsisches Staatsweingut GmbH /  www.schlosswackerbarth.de

= = =

      ©SongZiyul - 와인박물관이있는노이엔부르크 (Neuenburg) 성과포도밭의풍경

2) Saale-Unstrut지역 – 독일 최북단의 포도 재배지역

이지역은독일의최북단의와인지역으로봐이마르와라이프찌히의중간사이즉작센-안할트 (Sachsen-Anhalt) 주와 일부는튀링겐 (Thüringen) 주에위치한다. 숲으로둘려쌓인구릉지대, 포플러나무들, 광대한고원의절경을이룬자알레(Saale) 강과운슈트루트(Unstrut) 강의유역에석회암토양의경사지로된테라스형의포도밭으로, 천년을 거처서 포도가 재배되여 왔다. 

프라이부르크 (Freyburg), 나움부르크 (Naumburg), 바트쾨센 (Bad Kösen)이이지역의주요도시이다. 700 ha의경작지를가진이작은와인생산지는섬세하며향긋한향기와신맛의와인지역으로알려져있다. 리봐너, 봐이쓰부르군더 (피노브랑)과질봐너는아주주요한품종이며화이트와인이 75%와레드와인이 25%의비례로생산되고있다. 이지역은3구역 (Bereich Schloss Neuenburg, Bereich Mansfelder Seen, Bereich Thüringen)으로나누어져있다.

Gebietweinwerbung Saale-Unstrut / This email address is being protected from spambots. You need JavaScript enabled to view it.

Thueringener Weinbauverein (협회)  / www.thueringer-weinbauverein.de

= = = 

'

    (c)SongZiyul - 이 지역 포도재배지역의 중심시 Freyberg의 아름다운 풍경

.

방문한 협회와 포도재배 농가는 다음과 같다.

- 프라이부르크-운슈트루트포도농가협회 (Winzervereinigung Freyburg-Unstrut): 협회는 75전에설립하였으며현재회원은 500 포도농가로되어있고전체의경작지는 360 ha소농가협회이다. 최근에현대시설을갖춘다목적건물들이있으며, 본부는프라이부르크에소재하고있다. / www.winzervereinigung-freyburg.de 

보른포도농가(Weingut Born)횐슈테트 (Höhnstedt)에서 7 ha포도재배경작지를갖고 5대째운영하고있다. 지역은마르틴루터의출생지인아이스레벤 (Lutherstadt Eisleben)헨델의출생지인할레 (Halle/Saale)중간지점에위치하고있다. 양조업자의딸은라인강변의도시Geisenheim와인전문대학을졸업한 Elisabeth Born이며, 2010/2011년도의[Saale-Unstrut]지역 [와인여왕]으로선출되었다. 방문첫날에와인여왕의안내를받았다. / www.weingut-born.de 

뵈메포도농가 (Weingut Böhme) 1997년에설립되었으며 3 ha경작지를갖고 3세대가함께운영하고있으며정한날에는간단한식사를제공하며와인시음을하는이벤트를개최하고있다. 그리고딸인 Marika Böhme양은 2007/2008년도 [Saale-Unstrut] 지역 [와인여왕]으로선출되어홍보를위한활동을하였다고한다. /  www.weingut-in-gleina.de 

나움부르크시에서출발하여OT Henne 방향 (자아레사이클링코스를간다)으로향한다. 와인/젝트양조장에닿는다. 계속해서나움부르크의블뤼텐그룬트지역를통해서운슈트루트자전거길을따라서간다. 돌의그림 (사암릴리프)막스클링거(Max-Klinger) 포도원을따라서프라이부르크에간다. 도중에양조장방문, 로트캪헨(Rotkaeppchen) 젝트의지하저장실의방문그리고체뗀바흐 (Zeddenbach)있는물레방아견학이가능하다. /  www.naumburg-tourismus.de / www.freyburg-tourismus.de

= = 

자료출처: Deutsches Weininstitut GmbH www.deutscheweine.de

= = =

.

작성자: 송지열 (Song Ziyul) / www.eurasiatour.info 

'

 

.

    ©KoelnTourismus - 라인 강변에 발달한 도시 [쾰른 대성당]과 라인 강의 풍경

Rhein, Lahn Main 강 유역 여행

 1차 여행 (1774년 7월 15일 – 8월14일) – 교양 여행

괴테를 중심해서 라봐터 (Lavater, Johann Kaspar, 1741-1801)와 바세도브 (Basedow, Johann Bernhard, 1724-1790)를 수행해서 여행을 떠났다.

1774년7월15일 엠스 온천 (Bad Ems)에서 [라인 강 지역 여행]의 여정에 올라서 노이뷔트 (Neuwied)로, 여기서 코블렌츠(Koblenz, 7월19일), 쾰른(Koeln, 7월20일)을 거처서 뒤쎌도르프(Duesseldorf)에 7월21일 도착했다.  야코비(Jacobi) 형제를 방문하기 위해서였다.  또 괴테는 안과 의사이고 작가인 융 (Jung, Johann Heinrich, 1740-1817)이 있는 엘버펠트 (Elberfeld)를 방문했다.  그리고 야코비와 같이 베르기쉬 글라드바흐(Bergisch Gladbach)에 있는 산양용 성이 벤스베르크 (Bensberg 성)에도 갔다.

Duesseldorf: www.eurasiatour.info/index.php/en/germany/culture/215

Koeln (Cologne):  www.eurasiatour.info/index.php/en/germany/culture/149

= = 

       (c)Ruedesheim Trourist - 아름다운 전망을 가진 [니더봘트의 "Tempel"]

2차 여행: 1814년7월25일부터 10월27일까지 - 요양이 중심

라인 및 마인 강의 2차 여행은 1814년7월25일부터 10월27일까지이며, 그의 휴양을 위해 뷔스바덴(Wiesbaden) 온천장에 긴 체류 (7월29일-9월12일)를 한 것이다. 괴테는 아이세나흐 (Eisenach), 풀다 (Fulda), 겔른하우센 (Gelnhausen, Barbarossa 성 방문), 하나우 (Hanau) 와 Frankfurt를  거처서 Wiesbaden에 도착했다. 

이 기간에 뤼데스하임 (Ruedesheim)와 빙겐(Bingen, Sankt Rochus-Fest)에 소풍을 하였으며, 9월1일 - 8일까지는 외스트리히-뷘켈 (Oestrich-Winkel)에 사는 브렌타노 (Brentano)댁에 체류하면서 가이센하임 (Geisenheim), Ruedesheim와 Bingen을 방문했다.

9월24일에서 10월8일까지 괴테는 하이델베르크 (Heidelberg)에 머무르면서 보아세르 (Boissere) 형제의 수집품을 구경했다. 괴테가 10월24일 Hanau와 Eisenach를 거처서 봐이마르 (Weimar)에 귀가하였는데, 이 전에도 계속해서 Mannheim, Darmstadt와 Frankfurt (10월11일부터) 등을 여행했다.    

괴테는 라인 및 마인지역을 여행한 것을 그의 문하작품에 서술하고 있다.  [St. Rochus-Fest zu Bingen], [Im Rheingau Herbsttage]와 [Kunst und Altertum am  Rhein und Main]에서

= = 

Frankfurt: www.eurasiatour.info/index.php/en/germany/culture/56

Ruedesheim: www.eurasiatour.info/index.php/en/germany/culture/62

= = =

       ©Wiesbaden Marketing GmbH - 공용 온천장 [Kaiser-Friedrich-Therme] 

3차 여행: 1815년5월24일부터 11월11일까지  -  요양이 중심

1815년8월24일에 괴테는 Weimar를 떠나서 Eisenach, Fulda와 Frankfurt를 거처서   Wiesbaden에 5월27일에 도착해서 8월11일까지 체류했다. 이 사이 7월21일에 광산 고문관 크라머 (Cramer)와 함께 Idstein, Ober- und Niederselters를 거처서 블레쎈바흐(Blessenbach)를 그리고 계속해서 림부르크 (Limburg)와 나싸우 (Nassau, 7월24일)을 방문했다. 일행은 7월25일에 Koeln에 도착했으며, 7월27일에는 본 (Bonn), 그 후에 Koblenz를 지나서  Maria Laach (7월28일)에 그리고  Nassau, 슈봘바흐 (Schwalbach)와 슐랑겐바트 (Schlangenbad)를 거처서 7월31일에 Wiesbaden에 돌아왔다. 

Wiesbaden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germany/culture/130 

8월12일부터 9월18일까지 괴테는 Frankfurt에 있는 뷜레머 (Willemer) 가정에 체류했으며, 그 후에 그는 Darmstadt를 거처서 Heidelberg에 갔다. 9월28일에 Karl August공작도 Heidelberg에 와서 괴테와 함께 Mannheim (9월30일)을 방문했다. Thueringen주로 귀가 여행은 10월7일에 시작하여 넥커엘츠 (Neckerelz), 뷔르츠부르크 (Wuerzburg)와 고타 (Gotha) 등을 거처서 11월11일에 Weimar에 돌아왔다.

= = 

Bad Pyrmont - Harz지방 북서쪽

1801년1월에 안면 단독(丹毒)의 질환을 알았는데, 괴테는 아들 아우구스트와 함께 6월5일 Pyrmont로 여행을 떠났다. 6월6읿부터 12일까지 Goettingen에 체류했다.

그리고 요양은 6월13일부터 7월17일 까지 계속되었다. 돌아 오는 길에도 다시 Goettingen (7월18일-8월14일)과 Kassel에 들려 Christiane와 마이어 (Meyer, Heinrich)를 만났다. 그 후에 Eisenach와 Gotha를 거처서 6월30일에 Weimar에 돌아왔다.  /  www.bad-pyrmont.de     

= = 

Bad Lauchstaedt – Weimar 북동쪽에 위치

괴테는 벌써 1802년6월21일 - 7월8일과 1804년8월17일 – 9월3일까지 크리스티아네와 함께 이 곳을 방문한 후에 1805년7월6일부터 9월6일까지 요양 차 체재하였다.

그는 여기서부터 할레(Halle) 시를 방문하고 대학교의 여러 교수들을 만났다.  방문자들을 영접하고 Weimar의 업무에 대한 편지를 썼다.  여기서부터 괴테는 할레대학교의 볼프(Wolf) 교수와 함께 Magdeburg, Helmstedt 그리고 Halberstadt를 방문했다. /  www.bad-lauchstaedt.de  

= = 

Bad Berka (베르카 온천장) – Weimar 근처                                괴테는 극작가 렌츠 (Lenz, Jakob Michael Reinhold, 1751-1792)를 1776년 9월5일체 처음 방문하였다. 그는 이 곳의 유황온천 시설을 하기 위한 업무 차로 자주 방문했다. 

오랜 체류로는 1814년5월13일부터 6월25일까지와

1818년11월17일부터 12월6일까지이다.

마지막으로 기록된 체류는 1831년10월28일 이다.  / www.bad-berka.de

= = 

Bad TennstedtWeimar 북서쪽에 위치

1816년6월4일과 5일 밤사이에 괴테는 심한 열병의 발작으로 고생했으며, 6월6일에는 부인 Christiane가 작고했다. 7월20일에 괴테는 바덴-바덴 (Baden-Baden)으로 여행 길에 올랐으나, Weimar에서 얼마 되지 않는 곳에서 마차가 넘어져서 남독(南獨)으로 가는 여행을 포기하고, 대신에 7월24일에 Bad Tennstedt로 갔다. 9월10일에야 괴테는 Weimar로 돌아왔다. /  www.bad-tennstedt.de

= =

Goethe 하르츠 여행 (G-2)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germany/other/185

Goethe 스위스 여행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switzerland/213

Goethe 프랑스 여행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europe/other/232

Goethe 이탈리아여행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europe/381

Goethe 체코/온천여행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europe/259

Goethe 폴란드 여행www.eurasiatour.info/index.php/en/europe/other/176   

= = =

작성자: 송지열 (Ziyul Song) / www.eurasiatour.info

Facebook (Ziyul Song) / www.facebook.com/ziyul.song

Facebook / www.facebook.com/pages/EurasiatourInfo/122944391155017

.

.

Wuerttemberg지역 - 레드 와인 (11'500 ha, 화이트:29%, 레드: 71%)

 (c)StuttgartMarketing -  슈투트가르트의 포도원과 정상의 [Grabkapelle]

Württenberg  포도재배지역은 독일의 13개 지역 중에 크기에 있어서 4번째 (11'500 ha) 이고 레드 와인 Trollinger의 본고장이며 레드 와인의 생산 비율은 71%나 된다.

뷔르탬배르크은 구릉이 많은 전원지대로 바덴에 인접하고 있으며 프랑켄 남부에 면하고 있다. 대도시인 슈투트가르트 (Stuttgart)와 하일브론(Heilbronn)이 와인 산업의 중심지이나 대부분의 포도밭은 넥카 (Neckar) 강 유역에 산재하고 있다. 이 지역에는 레드 와인이 주류이나, 가벼운 [슈봐벤 민족의 국민적 음료]로 불리는 트롤링거 (Trollinger)와 진한 보디가 있는 슈봐르쯔리슬링와 렘베르거 (Lemberger) 등 여러 품종의 레드 와인용이 재배되고 있다. 화이트 와인 품종에는 리슬링이 압도적으로 주류인데, 이와 유사한 교배종인 케르러가 다음에 속하다.

4 구역 (Bereich Kocher-Jagst-Tauber, Bereich Oberer Neckar, Bereich Remstal-Stuttgart & Bereich WürttembergischUnterland) 으로나누어 있다.

Weinbauverband Wuerttemberg e.V. / www.wvwue.de

= =

슈투트가르트 와인 촌 (Stuttgarter Weindorf)

매년 8월말부터 9월초까지 전 세계에서 와인 전문가와 애호가들이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 수도에 구 궁성 주위에 즉 마르크트 광장과 쉴러 광장에 와인을 즐기기 위해 모여 온다. 120개 이상의 아름답게 장식을 한 와인 노점에는 250종류 이상의 훌륭한 뷔르템베르크의 와인들이 선보이게 됩니다. 여기에 슈투트가르트의 음식점들은 슈봐벤 지방의 특식들 즉 마울타쉔(Maultaschen),  Kaese-Spaetzle, 야채가 든 슈프누델른 (Schupfnudeln) 그리고 더 많은 맛있는 특식들을 서비스 한다. / www.stuttgarter-weindorf.de 

Stuttgarter Weindorf (슈투트가르트 와인 촌)

stutwein7       (c)Stuttgart Tourism - [슈투트가르트 와인 촌]의 모습

= = =

[와인 박물관] (Weinbaumuseum Stuttgart)

[슈투트가르트 와인박물관]은 1979년 이래 존재한다. 시의 한 지구 Uhlbach에 오랜 와인 저장소의 역사적인 분위기에서 근대와 현대 와인의 역사 전시를 제시하고 있다. 견학 안내에서 와인 도시 슈투트가르트에 관해서 몇 가지를 경험하게 된다. 마지막에 Vinothek에서 슈투트가르트 지역에서 만든 와인 2종류를 시음하게 된다. /  www.weinbaumuseum.de

이 지역의 조합은 약 40 포도 재배 농가들이 [Weinmanufaktur Untertuerkheim] 양조장에 공급을 하고 있다. 이 양조장은 약 125년 전에 설립되었으며 지금은 바덴-뷔르템베르크에 있는 일류 조합이며 독일에서 최고의 협동조합이다. 수많은 상과 표창을 받은 것이 명확하다. / www.weinmanufaktur.de 

[Segway]를 통한 투어는 포도밭을 따라서 올라 갔다. 슈투트가르트 지역에서 가장 로만틱한  곳, 즉 Rotenberg에 있는 영조를 들여서 사진을 찧고 다시 박물관으로 돌아 온다. 이 영조(Grabkapelle)는 왕 뷜헤름 1세가 그의 죽은 젊은 부인 Katharina(1819년 사망)를 위해서 영원한 사랑의 증표로 세운 작은 교회인데 아름다운 전망을 갖고 있다. / www.grabkapelle-rotenberg.de 

1979년이래 [슈투트가르트 와인박물관]이 존재한다. 시의 한 지구 Uhlbach에 오랜 와인 저장소의 역사적인 분위기에서 근대와 현대 와인의 역사 전시를 제시하고 있다. 견학 안내에서 와인 도시 슈투트가르트에 관해서 몇 가지를 경험하게 된다. 마지막에 Vinothek에서 슈투트가르트 지역에서 만든 와인 2종류를 시음하게 된다. /  www.weinbaumuseum.de

= = 

Heilbronner Land구 - Wuerttemberg지역의 한 구역

 (c) Song Ziyul - Heilbronner Land지역에 속하는 포도동산

하일브론지역 (Heilbronner Land)은 독일의 13개 포도재배지역 중에 남서부 독일에 위치하는 [뷔르템베르그 포도재배지역]에 속한다. 이 지역의 북부 중심부이다. 하이브론 시와 주위 코허(Kocher), 야그스트(Jagst) 및 네카(Necker) 강의 계곡에서는 뷔르템베르크 포도의 절반 이상이 재배되고 있다. [뷔르템베르크 와인산책로]와 [와인 자전거 길] 외에 또한 다른 방법으로 포도밭을 접할 수 있다. 우리들은 이 중에 일부 포도원을 여러 면으로 방문했다.  

[뷔르템베르크 와인체험안내자]들은 여기가 그들의 기원으로 여긴다. 따라서 여기는 인증된 [와인체험 투어] (WeinErlebnisTouren) 뿐만 아니라 엔터테인먼트의 프로그램 등도 있다.  [단합적인 Trollinger 추적]은 가족 프로그램으로도 적응 시킬 수 있다.  점점 더 인기 있는 Geocaching으로 변화하고 있다. 와인 시음을 움직이면서 포도원 통해서 하고, 적극적으로 포도 재배 원으로 몰입할 수도 있다. 포도원에서 점심 휴식  "많은 확득에 따라" 축하도 한다. / www.zaberguides.de 

= = 

Heilbronn 중앙역에 모여서 출발을 하였다. 이 곳에 있는 와인 양조장 [Weinbau Kuehner GbR]으로 이동 하여 전형적인 뷔르템베르크 와인 양조장이 운영하는 특별 식당에서 점심식사를 했다. /  www.weinbau-kuehner.de .

[Trollinger-트랫킹 – 와인 보물찾기] - 여러 가지 종류의 애호가들을 위해 연간을 통해서 예약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하이킹, 자연, 문화, 모험, 와인 지식, 와인 시음, 근대적 기술 등 많은 것을 조합해서 만든 프로그램인데 가족을 위해 용이하게 수정이 가능하다. 안내자는 Saskia Woerthwein 여사이었다. 

다음은 Nordheim에 소재하는 개인 와인 양조장 [Rolf Willy]을 방문하여 트롤링거 와인 시음하고 시설을 관람했다. 이 양조장은 2013년에 [식료•농업•소비자보호]부(部)의 수상을 했다. 이 상은 현재 와인상으로 전체적인 탁월성으로 독일의 식품업계 최고의 상이다. / www.rolf-willy.de

= =   

호텔 운영자 봐그너 (Peter Wagner)씨의 와인에 대한 간결한 설명으로 음식을 더욱 즐겼다. 이 레스토랑은 바덴-뷔르템베르그 주의 [와인과 와인 전문지식과 향토요리의 맛의 남부의 만드는 집]으로 수상이 되었다. 이 이방의 제품의 사용과 향토요리의 준비를 위해 운영되고 있다. / www.schlosshotel-liebenstein.de

= = =

빛의 방에서 와인 시음 (Weinprobe im Lichtraum)

피셔 양조장의 빛의 공간에서 여러 색 갈의 빛 들 (흰색, 노란색, 오랜지 색, 빨간 색)의 조명함으로 와인을 마실 때 와인의 맛의 영향을 주는 색 갈의 관능적 인상을 허용했다. 와인 양조자 피셔 (Andreas Fischer)는 여러 가지 빛을 조명하며 시음을 개최했다. / www.weingut-fischer.de 

하일브론(Heilbronn)의 [Wein Villa Heilbronn] 레스토랑으로 이동하여 [하일브론 관광국]의  봐그너 (F. Wagner) 책임자의 환영인사를 받은 후에 [와인 빌라 하일브론의 시음-메뉴]를 즐겼다. 이 레스토랑 [Wein Villa Heilbronn]은 와인 판매소로서 약 100의 현지 산의 와인과 17의 섹트를 전시 직매하고 있다. 또한 [봐인빌라]는 미식으로 지역의 특별요리 메뉴를 제공하고 있다. / www.wein-villa.de

하일브론은 와인 외에도 여러 가지 관광의 매력을 갖고 있는 도시이다. 또한 독일의 만하임(Mahnnheim)에서 바이에른주의 Kulumbach까지 잊는 천 키로미터나 긴 [고성가고] (Burgenstrasse)의 홍보협동체의 본부 소재지로서도 큰 뜻을 갖는다. / www.heilbronn-marketing.de 

= = =

     ©Sächsisches Elbland – 봐커바르트 성에 속한 포도원과 와인 양조장 시설

  1. A)기후와토양

독일은북위 50도에위치하나멕시코난류의영향으로온화한기후로포도재배에유리한영향을받고있다. 독일포도밭의큰부분은남향급경사면과구릉지대에있으나강풍을막아주는숲이있으며, 많은밭은태양광선을반사해주는강유역에위치하고있다. 라인강과그지류는기후에크게공헌하고있다.즉강의물이근처의기후를온화하게만들고있으며또한물의반사로주야간의안정된온도를유지하게하는역할을한다.  

이와같은일반적기상에다가여기저기있는포도밭들의 [미크로기후] (Micro climate) 특유의기상조건을고려해야만한다. 또한북쪽으로치우친독일의위치로포도들은남쪽지역에서보다긴성숙기간을갖는다. 이것이다른곳에서는수확이끝난지오랜후인 10월과 11월에독일에서는포도수확을하는이유이다. 포도는나무에더오래머물수록더욱성숙한다. 그것은더많은향취와더많은맛을제공한다.

밭의토양도또한와인만드는데대단히주요한포인트의하나이다. 토양에함류된미네날분과미량원소분의다름에있다. 13의와인생산지는여러다른토양에서만들어졌기에독일와인에있어서도여러가지의성격을가진와인이존재한다는것이다. 토양이다르고기후의다름, 또한포도밭의입지조건이다름이독일와인의바라이어티가많은것이다.

  1. B)주요포도의 품종과 재배면적

독일에는현재약 10만 ha의포도밭이있다. 그중 63%가화이트와인용의품종들이고나머지 37%가레드와인용의품종이재배된다. 세계적으로본다면화이트와레드와인용의재배지역의비률은독일의경우와거의반대가된다. 일년에생산량은약천만 hl이고일년에외국으로수출하는량은약 2백 hl이다. 지난 30년간의경향을보면독일포도재배는증가하였으며또한레드와인의생산이늘어났다.

  1. a)화이트 와인용 품종

1) 리슬링 (Riesling) – 오랜전통을갖는위대한품종 : 21'197 ha (20.8%)

독일에있어서가장주요한화이트와인용품종인리슬링은역사적으로문서에등장하는것은 15세기로, 오늘날세계에서생산되고있는리슬링의반이상이독일의전역에서생산한다. 북쪽에위치한독일은일조량이부족해서당분은부족하지만대신에산도가높은것이특징이다. 세련된신맛과과일향등의복층적인맛이있다. 모든식사즉생선과조개류, 송아지와닭고기등의요리에잘맞는다. 섬세한맛의크림소스와도잘어울린다.

2) 리봐너 (Rivaner) : 13'988 ha (13.7%)

일명뮐러-투르가우 (Müller-Thurgau)라불리는독일포도개량사에서가장오래되며또한가장크게성공한품종이다. 이것은리슬링과질봐너의교배종으로 1882년에스위스투르가우출신인뮐러교수가가이센하임(Geisenheim)에있는왕실실습장에서성공한것이다. 라인헷센지역, 바덴지역, 팔쯔지역, 모젤지역그리고프랑켄지역에주고재배되고있다. 리슬링보다부드러운산미그리고신선하며, 숙성직후가가장맞는다.

3) 질봐너 (Silvaner) – 백아스파라와물고기요리의파트너: 5'314 ha (5.2%)

질봐너는가벼운산미를갖는인상적인와인으로흙의향이있다. 프랑켄지역의질봐너는물고기요리, 라인헷센과팔쯔지역의질봐너는특히흰아스파라거스에잘맞는다. 드라이한질봐너와인은고급매뉴에적합하다.

4) 그라우부르군더 (Grauburgunder) / (Ruländer) 4'382 ha (4.3%)

5) 케르너 (Kerner) 4'004 ha (3.9%)

6) 봐이쓰부르군더 (Weissburgunder) 3'491 ha (3.4%)

7) 박후스 (Bacchus) 2'113 ha (2.1%)

  1. b)레드와인용 포도 품종

1) 슈태트부르군더( Spätburgungder, red) – 오랜전통을갖는레드와인용 : 11'807 ha (11.6%)

프랑스어로 [피노누아 / Pinot Noir]라불리며, 레드와인용의대표품종이다. 대부분이바덴특히카이서슈툴지구와투니베르크지구에서재배된다. 슈패트부르군더와인은맛이풍부하며아주부드럽다. 단맛을느끼는러드의과실의향기를가지며예를들면딸기아로마와아몬드향이있다. 로스트비프또한여러가지종류의치즈에잘맞는다.

2) 도른펠더 (Dornfelder) – 과실맛 : 8'231 ha (8.1%)

헬펜슈타이너(Helfensteiner)와헤롤트레베(Heroldrebe)라는품종과합해서개발된도른펠더로서는주로신맛의와인이만들어진다. 진한아로마늘최대한으로만들게하는것과나무통을사용해서양조를한것으로탄닝을강조하는것이다. 팔쯔와라인헷센에서약 40%가재배된다.

3) 포르투기서 (Portugieser) 4'683 ha (4.6%)

4) 트롤링거 (Trollinger) 2'518 ha (2.5%)

5) 슈봐르쯔리슬링 (Schwarzriesling) 2'424 ha (2.4%)

6) 레겐트 (Regent)2'183 ha (2.1%)

  1. C)독일와인의 등급 – 포도의 성숙도는 품질의 표시

1971년에개정된독일의 [신와인법]에의해서소비자들에게더알기쉽게라벨에포도밭의이름표시외에와인의성격과등급의표시가의무화되었다. 독일은그품질에의해서크게 4그릅으로나누어져있다.

(1) 도이쳐타펠봐인 (Deutscher Tafelwein):이일반와인은주로생산지에서소비된다.

(2) 도이쳐란트봐인 (Deutscher Landwein): 이른바 [시골의와인] 성격을가진다. 대량으로생산된다.

(3) 생산지한정상급와인 (Qualitätswein, bestimmter Anbaugebiete 약칭 Q.b.A.): 지정된재배지역에서나는질좋은와인뜻이다.

(4) 시평된상급와인 (Qualitätswein mit Prädikat, 약칭 Q.m.P)

시평된상급와인 (Qualitätswein mit Prädikat)는수확시의포도의당도에의해서 6등급으로나누어있다. 여기에는포도품종의성격과숙성도, 조화성, 왕성도등의점에있어서엄격한기준에서검사가행해진다. ,

1) 카비네트 (Kabinett): 성숙한포도에서만들어진양질의와인

2) 슈패트레세(Spätlese): 보통의수확기보다늦게수확한, 완숙한포도사용, 확실한맛이있는와인

3) 아우스레세(Auslese): 완숙한포도에서만든고급와인. 완숙하지않는포도는제거함

4) 베에렌아우스레세 (Beerenauslese/BA): 진한맛이풍부한단와인. 과숙한, 고급부패균의포도를선별.

5) 트로켄베에렌아우스레세 (Trockenbeerenauslese/TBA): 이것은독일최고급와인으로과숙한포도에고급부패균이붙은건포도같은것을골라서수확한다. 꿀과같은밀도가높은식성을돕거나후식용와인으로최적당함.

6) 아이스바인(Eiswein): 포도가언상태에서수확하여압착한다. 이렇게함으로포도의과즙은자연히농축되어 [아이스봐인] 독특한, 아주진한신맛과단맛을함께한맛이나온다.

= =

  1. D) 13포도재배지역 – 와인투어 (Wine Tour)를 위해서

독일의대표적이고인정된포도재배지역은 13지역으로크게나눈다. 넓게분산되어있어서 [와인투어정보]의편의상지리적위치를고려해서다음과같이 3코스로나누어서언급한다

  1. 라인란트-팔쯔 (Rheinland-Pfalz)  (1) (라인강의왼편):

1) 팔쯔 (Pfalz) 지역:www.pfalzwein.de / 중심지: Neustadt/Weinstrasse

2) 라인헷센 (Rheinhessen) 지역: www.rheinhessenwein.de /중심지: Alzey

3) 나헤 (Nahe) 지역: www.weinland-nahe.de / 중심지: Bad Kreuznach

  1. 라인란트-팔쯔(Rheinland-Pfalz)  (2) (라인강의왼편):

1) 미텔라인 (Mittelrhein) 지역: www.mittelrhein-wein.com / 중심지: St. Goar

2) 모셀 (Mosel) 지역:www.weinland-mosel.de/ 중심지 : Trier

3) 아아르 (Ahr) 지역:www.wohlsein365.de / 중심지: Marienthal

III바덴-뷔르. (Baden-Wuerttemberg) 와 헷센 (Hessen)  (라인강의오른편)

1) 바덴 (Baden) 지역: www.badischer-wein.biz/ 중심지: 칼스루헤 (Karlsruhe)

2) 뷔르템베르크 (Württemberg) 지역:www.wwg.de / 중심지: Möglingen

3) Hess. Bergstrasse지역: www.bergstraesser-wein.de / 중심지: Heppenheim

4) 라인가우 (Rheingau) 지역: www.rheingauer-wbv.de/ 중심지: Ettville

  1. 바이에른(Bayern),튀링겐과 작센-안할트 및 작센(Sachsen) 

1) 프랑켄 (Franken)지역:www.haus-des-frankenweins.de / 중심지: Würzburg

2) 작센 (Sachsen) 지역:www.weinbauverband-sachsen.de / 중심지: Meissen

3) Saale-Unstrut 지역: www.natuerlich-saale-unstrut.de / 중심지: Freyburg

= = 

Pre2018     ©Song Zy - 이 지역 [와인 공주]의 시음 행사 전시장 환영접대 입구 

= =

GWT (1) : 6 Region in Rheinland-Pfalz (Ahr,  Mittelrhein, Mosel, Nahe & Pfalz)  www.eurasiatour.info/index.php/germany/other/177

GWT (2) : 1) Baden & 2) Wuerttemb.  Wine Region /  www.eurasiatour.info/index.php/germany/166 

GWT (3) :  1) Franken,  2) Rheingau &  3) Hessische Bergstrasse www.eurasiatour.info/index.php/germany/other/141

GWT (4) : 1) Sachsen  &  2)Saale-Unstrut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germany/other/169   

Info & Queen (여왕) / www.eurasiatour.info/index.php/germany/other/171

자료출처: 독일와인연구소 (Deutsches Weininstitut) - www.deutscheweine.de

GW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germany/other/290 

= = 

자료출처: Deutsches Weininstitut GmbH /  www.deutscheweine.de

= = =

작성자: 송지열 (Ziyul Song) / www.eurasiatour.info / This email address is being protected from spambots. You need JavaScript enabled to view it.

Facebook (Ziyul Song) / www.facebook.com/ziyul.song

FB (Eurasiatour) / www.facebook.com/pages/EurasiatourInfo/122944391155017

.

 

Articles View Hits
4970222
Go to top
JSN Epic 2 is designed by JoomlaShine.com | powered by JSN Sun Frame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