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스트 (Liszt, Franz) 오스트리아 및 유럽의 음악가

    ©BurgenlandTourismus - 라이딩에 있는 리스트 생가 옆에 마련된 콘서트 기념관

A) Austria (오스트리아)의 Raiding (라이딩, at) – 출생지

유럽의 음악가 리스트(Franz Liszt)는 18111022일 오스트리아 부르겐란트(Burgenland, 당시헝가리) 주의 라이딩(Raiding)에서 태어났다. 리스트는 벌써 여섯살 때 아버지로부터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했고 곧 천재적 재능을 보였다. 9살에 첫 연주회를 가졌으며, 이로인해 음악교육을 위한 장학금을 얻어서 19225월에 비엔나로 부모와 같이 이사를 갔다. 라이딩에는 그의 생가를 수리하여 만든 박물관이 있다. /  www.franz-liszt.at  

Vienna (비엔나) – 리스트의소년시절수학한도시

18225월에 리스트 가족들은 Vienna로 이사를 했다. 여기서 그는 베토벤의 제자였던 체르니 (Carl Czerny)에게서 피아노, 음악이론, 화음법 및 작곡을 배웠고 열두살이 되던 182212월에 데뷔했다. 첫 성공후에 이탈리아 궁정 작곡가 사리에리 (Anton Salieri)의 학교에 다녔다. 그의 아버지의 야망에따라 18239월에 파리로 옮겼다. 후에 리스트는 콘서트 연주를 위해 여러비엔나에 들였.   www.austria.info/ch/kunst-kultur/franz-liszt-1431432.html

= = =  

B) France (프랑스)

1823년에 자기 양친과 함께 파리(Paris)로 옮겨서 거기서 그는 벌써 젊은 피아노 연주자로 격찬을 받았다.

1824년부터 파에르와 레이하 밑에서 푸가와 대위법을 공부했다. 그러나 아버지 아담 리스트가 세상을 떠나자 리스트는 큰 충격을 받았으며, 잠시 성직자가 되고 싶다는 희망을 비쳤다.

1831년 천재 바이올린 주자 파가니니 (Paganini)의 공연에 다녀온 후 리스트는 최고의 피아니스트가 되기로 마음먹고 매일 10시간이 넘도록 연습을 했다고 한다.

리스트는 베를리오즈 (Berlioz), 슈만 (R. Schumann), 장차 그의 사위가 되는 바그너(R. Wagner) 등의 당대의 음악가들과 친분을 다졌다. 리스트는 잠시 탈베르크와 경쟁관계에 놓였으나 탈베르크의 명성은 점차 희미해졌다. 이 후의 리스트의 라이벌은 언제나 쇼팽이었다.

1834년에 백작부인 다구 (Marie d’Agoult)와의 연애관계가 시작되었으며, 1835년에는 백작부인 마리와 사이에 첫 딸 블란딘 (Blandine)이 제네바 (Geneva)에서 태어났다.

= = =

C) Germany (독일)

1848년 리스트는 바이마르 (Weimar)의 궁정에서 정식 카펠마이스터(Kappelmeister)로 임명되었다. 이 시기 리스트는 자인-비트겐슈타인 (Carolyne Sayn-Wittgenstein) 후작 부인과 깊은 사랑에 빠져, 다구 백작 부인과 헤어졌다. 피아노 공연보다는 작곡에 주력할 것을 권한 사람도 후작 부인이었다. 두 사람은 결혼하려 했으나 비트겐슈타인 부인의 남편은 아직 살아 있었고 교황청은 후작 부인의 이혼을 승락 하지 않았다. www.liszt-2011.de / www.liszt.de

.

      ©SongZy - 리스트에 관련된 전시회가 개최될 시립 박물관 / 궁성 건물

Weimar (바이마르) – 유럽 문화 도시

바이마르에는 리스트가 1848년부터 1861년까지 궁정 악단과 궁정 오페라의 지휘자로 활동하다. 그는 곳에서 연주와 지휘뿐만 것이 아니라 여러 작품을 작곡했고 또한 후배 양성에도 노력하여 많은 제자들을 배출했다. www.liszt-2011.de

리스트 박물관 (Liszt Museum): 리스트의 바이마르 체류 시에 거처하며 제자들을 가르친 집이었는데 박물관으로 이용되고 있다. 2011321일까지 수리 중이다.

근처 공원에는 승려 복을 입은 리스트의 기념비가 있다. 또한 리스트가 거처한 다른 건물은 일름 건너편에 있는 알텐부르크 (Altenburg)이다.

[프란츠 리스트 봐이마르 음악 대학] (Hochschule für Musik Franz Liszt Weimar) 피아니스트이며 작곡자인 프란츠 리스트의 후원 하에 18726월에 개교했으며 현재 700명의 대학생들이 작곡, 지휘 악기의 수업을 하고 있다. www.hfm-weimar.de

시내 관광으로 [프란츠 리스트의 발자취를 따라서]라는 제목으로 리스트 박물관을 위시하여 리스트에 연관된 관광 명소들을 방문하는 코스를 실시한다.

Tourist-Information Weimar /   www.weimar.de

= = =

Bayreuth (바이로이트) – 음악 축제의 도시

바이로이트는 바이에른 주의 북쪽에 있는 프랑켄 지방에 있으며 음악의 도시뿐만 아니라 학문과 휴양의 도시로도 주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이는 프로이쎈의 공주며 변방백작 부인인 뷜헤르미네 (Wilhelmine) 호화 찬란한 궁전과 아름다운 산책 정원을 솔선 먼든 것이다. 여기에 음악과 철학을 사랑하는 열심과 재능이 멋진 여성이었다. 매년 여름에 행해지는 바그너의 [바이로이트 음악제]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또한 리스트는 딸이고 리하르트 바그너의 부인인 코시마를 방문하였으며 이곳에서 서거했다.

이곳에 리스트의 서거한 집과 묘가 있다. 2011년은 리스트가 출생한 200주년으로 그에 관한 여러 연주회와 행사가 개최된다.

= = =

음악의 관광 명소

-  변방 백작의 오페라하우스 (Markgraefisches Opernhaus)

1744-48년 사이 바로크 양식의 건물로 내부에 풍부한 장식을 시도한 아름다운 오페라하우스 이다. 25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이 오페라하우스는 가장 잘 유지된 건물로 유네스코 사무국에 [세계유산]으로 인정을 받기 위한 신청을 하고 있다고 한다. / www.bayreuth-tourismus.de

-  리스트 박물관 (Franz-Liszt-Museum)

프란츠 리스트가 사망한 저택의 건물이다. 뮌헨의 피아니스트 에른스트 프르가의 수집품에서 바이로이트 시가 구입한 300점의 그림, 편지 원고 인쇄물이 보관되어 있다. 반프리트 관에서 운반한 피아노, 편지와 프란츠 리스트 작품의 초판 등을 있다. / www.bayreuth.de/museumsuebersicht/franz_Liszt 

-  리하르트 바그너 박물관 (Richard Wagner-Museum)

[리하르트 바그너 박물관] 1966년까지 바그너와 그의 가족이 집이었던 [Wahnfried / 반프리트]이다. 정원에 바그너 부처의 묘가 있다. 1976 이후 내이셔날 아르히브 가맹한 박물관인 동시에 리하르트 바그너 협회의 연구 시설기관이기도 하다. 2013년은 [바그너의 ] 많은 행사가 마련되고 있다. /  www.wagnermuseum.de

= = =

1861로마 (Roma)로 옮겼다. 1865년 리스트는 예전의 희망대로 로마 가톨릭 성직자가 되어 교회음악 작곡에 헌신했다.www.liszt.it

1869년부터 리스트는 로마, 바이마르, 부다페스트를 돌아다니며 공연을 했다.

1870년 그의 딸 코지마가 바그너(R. Wagner)와 결혼하면서 개신교로 개종하자 리스트는 몇 년 동안이나 코지마와 연락을 하지 않았다.

1872년 처음으로 바이로이트 방문하여 그의 딸와 봐그너의 관계를 개선하다.

= = =

D) Hungary (헝가리)

     © Z. Song-리스트에 의해서 설립된 부다페스트의 음악 아카데미

1875년 새로 설립된 [부타페스트 음악 아카데미]의 회장으로 임명되다. 1876년부터 1886년 죽기 전까지 리스트는 헝가리 부다페스트 (Budapest)에 들여서 음악을 가르쳤다. www.lfze.hu  

1883년 그의 친구며 사위인 봐그너 (R. Wagner) 사망하다.

1884-85년 그의 작품 연주에 참가하기 위해서 여러 곳을 여행했다.

1886723일에 리스트는 독일의 바이로이트(Bayreuth)를 방문하여 봐그너의 작품을 몇 가지 들었으며, 731일 바이로이트에서 둘째 딸 코지마의 품에 안겨 폐렴으로 세상을 떠났다. www.bayreuth.de www.bayreuth.de/tourismus_kultur_freizeit_7.html

= = =

Bach, C.P.E. (1714-1788)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germany/music/84

Beethoven, L. / http://www.eurasiatour.info/index.php/en/germany/music/195 

Handel, G. F. (1685-1759)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germany/culture/135

Haydn, J. (1732-1809)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austria/music/109 

Lehar, F. (1870-1948)  / http://www.eurasiatour.info/index.php/en/europe/music/310 

Mahler, G. (1860-1911)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europe/culture/218

Mendelssohn, F. (1809-1847)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germany/music/139  

Schumann-W.C. (1819-1896)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germany/music/240 

Schumann, R. (1810-1856)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germany/music/240   

Wagner, R. (1813-1883)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germany/music/296 

= = = = =

작성자: 송지열 (Ziyul Song) / www.eurasiatour.info

Facebook (Ziyul Song) / www.facebook.com/ziyul.song

Facebook / www.facebook.com/pages/EurasiatourInfo/122944391155017

.

 

.

Gustav Mahler (구스타프 말러) - 유럽의 음악가

     ©SongZy - 말러가 10년간 지휘한 [비엔나 국립 오페라하우스]

G. 말러 (Gustav Mahler, 1860-1911)는 보헤미아 태생의 오스트리아 작곡가이자 지휘자 및 가극장의 감독으로 20세기를 개척한 자로 인정되고 있다. 그는 186077일에 유대인 양친의 사이에 오스트리아령 보헤미아 (오늘날 체코공화국) 의 이글라우 (Iglau) 근교의 칼리슈트 (Kalischt)에서 태어나다. 14명의 아이 중에 둘째 아들로 그의 소년 시절은 거의 모라비아 도시 Iglau에서 보냈다. 말러는 아주 재능이 컸으며, 6살에 벌써 음악 강의를 들었으며 15살 때 콘서바토리움에서 공부하기 위해서 비엔나로 갔다. 1877년에 비엔나 대학에서 안톤 브루그너 (Anton Bruckner)의 대위법의 강의를 들었으며, 두 사람 사이에 깊은 교류가 시작 되었다. 말러는 오스트리아의 여러 곳과 연관이 있으며 특히 비엔나에서는 수학하고 후에 크게 활동한 곳이다

= = =

말러의 주요 활동 지의 연대 및 기간

1880 (20): [Bad Hall]에 있는 여름극장의 지휘자가 되었다. (18806-8월까지)

1881-82: 슬로베니아의 라이바흐 (Laibach, 현 류블랴나) 극장의 악장.

1883-85: 독일의 카쎌 (Kassel) 왕립극장의 부 지휘자. www.kassel-marketing.de

이 해부터 3 번의 여름에 아름다운 잘츠캄머굿 지방의 슈타인바흐 (Steinbach)의 아터호수의 호반에서 즉 조용한 환경에서 교향곡 2번과 3번을 작곡했다.

1884 : 6월의 음악제에서 베토벤의 [9 교향곡]과 멘델손의 [성 바울]를 지휘해서 지휘자로서 성공함.

1885년에 체코 프라하 (Praha)의 독일 극장의 부 지휘자로 임명

=

1886-88: 독일 라이프찌히 (Leipzig) 시립극장에 부 지휘자로 활동. www.ltm-leipzig.de

말러는 1886, 그의 26살의 나이에 라이프치히 시립극장(Stadttheater) 지휘자로 취임했다. 젊은 말러는 봐그너의 [탄호이저], 마리아 베버의 [마탄의 사수] 베토벤의 [피델리오] 공연으로 크게 성공을 했다. 라이프치히에서 말러는 그의 심포니 1번을 작곡하였고 여기서 그는 심포니 작곡가가 되었다

188910 – 18913: 헝가리 Budapest 왕립가극장의 예술감독으로 활동.

18913 – 18974: 독일 함부르크 (Hamburg) 시립극장의 정 지휘자로 6년간 활동

1897년 봄에 결혼 등을 위해서 유대교에서 로마 캐톨릭 교회로 개종함.

5월에는 오스트리아의 Vienna 궁정 가극장 지휘자에 임명되며, 10월에는 예술감독이 됨.

1898년에 [비엔나 필하모니]의 지휘자가 됨

1899년에 남 오스트리아의 뵈르터 호수 (Woerthersee) 호반의 마이어닉 (Maiernigg/Klagenfurt)에 산장에서 교향곡 제4번을 착수하여 다음 해에 완성. www.info.klagenfurt.at

19014: 비엔나의 청중과 평론가와의 사이가 악화되어 [비엔나 필하모니]의 지휘자를 사임.

그러나 [비엔나 궁정 가극장 (현 비엔나 국립가극장)]의 직은 계속함.

(c)SongZy - 국제급인 [부다페스트 국립오페라하우스]의 아름다운 건축물

1902 3월에 알마 쉰드러 (Alma Schindler, 1879-1964)와 결혼. 두 사람 다 초혼이었다. 여름에

마이어닉의 산장에서 [교향곡 제5]을 완성, 10월에 장녀 마리아 안나가 태어남.

1903: 프란츠 요셉 1세 황제로부터 제3등 철 십자 훈장을 수여 받음. 둘째 딸이 태어남.

19044: 쇤베르크 (A. Schoenberg)와 체믈린스키 (A. von Zemlinsky) 등이 비엔나에 [창조적 음악가 협회]를 설립해서 말러를 명예 회장으로 함. 여름 마이어닉 산장에서 [교향곡 제6] 쓰기 시작하고 7번의 2개 야곡을 작곡. www.gustav-mahler.at

1905년 여름, 마이어닉의 산장에서 [교향곡 제7]의 제1, 3, 5악장을 완성.,

1907: 장녀 마리아 안나 사망했으며, 말러 자신도 심장병으로 진단 받음.

1907: 12월에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의 초청을 받고 도미. [교향곡 제8, 천인의 교향곡]을 완성.

19085월 비엔나에 돌아옴. 남 티롤 토블라흐 (Toblach)에서 [대지의 노래]를 작곡. 가을에 다시 도미.

1909년에 [뉴욕 필하모니]의 지휘자가 됨. 여름에 유럽에 돌아와서, 도블라흐에서 [교향곡 제9] 착수하여 약 2개월 만에 완성. 10월에 다시 도미. www.toblach.info

19104월 유럽에 돌아왔으며, 신경증상으로 괴로움을 겪음. 프로이트의 진단을 받아 좋아진다.

그래서 912일에 뮌헨에서 그의 교향곡 제8 [천인의 교향곡]을 자신의 지휘로 초연을 해서 즉 자작 자연을 처음으로 해서 대성공을 하였다.

19112: 미국에서 감염성 심내막염으로 진단을 받고 비엔나로 돌아옴. 518 51세의 생일 6주 전에 패혈증으로 숨을 거둔다

비엔나의 그린찡 (Grinzing)묘지에 그의 첫 딸과 함께 안장되었다.

www.austriatourism.com/gustav_mahler

= = =

말러와 관련된 음악 기관들

국립오페라하우스 (Wiener Staatsoper): 말러가 10년간 활동한 오페라좌 www.wiener-staatsoper.at

비엔나 필하모니 (Wiener Philharmoniker): 매년 „신년 콘서트“를 연주하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필하모니 (www.wienerphilharmoniker.at)

콘서트 집 (Konzerthaus): 다양한 콘서트가 개최되는 곳 http://konzerthaus.at/home_e

음악의 ( Haus der Musik): 10년 전에 개관되어 인기리에 운영되고 있다. (www.hdm.at )

◊ 전시회 [말러와 비엔나 / Gustav Mahler - Vienna]: 2010년3월11일–10월3일,

장소: 오스트리아 극장박물관, Lobkowitzplatz 2 (www.theatermuseum.at )

비엔나에서 활동한 말러의 생애에 있어서 여러 활동기관과 소재지를 소개한다. 그리고 궁정가극장

(현 시립오페라)의 지휘자와 예술감독으로 활동한 시기에서 현재까지를 자세하게 보여주고 있다.

= = =

2009 Handel, G. F.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germany/culture/135

2009 Haydn, Joseph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austria/music/109

2009 Mendelssohn, F.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germany/music/139     

2010 Schumann, R.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germany/music/240 

2011 Liszt, F.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austria/music/219

2013 Wagner, R.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germany/music/296

2014 Bach, C.P.E.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germany/music/84  

2019 Schumann, Clara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germany/music/240 

2020 Beethoven, van L.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europe/music/195

= = = 

작성자: 송지열 (Ziyul Song) / www.eurasiatour.info

Facebook (Ziyul Song) / www.facebook.com/ziyul.song

Facebook / www.facebook.com/pages/EurasiatourInfo/122944391155017

.  

.

Beethoven 2020베토벤 탄생 250주년

Beethoven       ©BonnTourist Info - [L. van Beethoven]의 여러 초상 중에 가장 매력적인 것

2020년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의 탄생 250주년을 기념해서 2019년12월16일에서 2020년12월17일까지 국제적인 수준으로 [베토벤 기념해]를 축하한다. 기념해인 2020]에는 다채로운 이벤트가 준비되어 있으며, 콘서트, 전시, 오페라, 영화, 댄스 및 연극의 공연 등을 1년간을 통해서 음악 체험을 제공한다. 또한 심포지엄과 교양 프로그램으로 베토벤의 작품을 여러 각도에서 알리게 된다.  

음악의 유명한 지휘자들 중에 초빙 객에는 Sir Simon Rattle와 그가 인솔하는 [런던 교향악단], Daniel Barenboim 및 Teodor Currentis 등이다. 연간 흥미 있는 프로그램은 [베토벤의 기념협회]의 이벤트 캘린더 [BTHVN2020]에 게재되어 있다. / www.bthvn2020.de/en/program/calendar-of-events

이 특별한 기회를 기해서, 방문객들을 위하여 [특별 베토벤 여행 패키지]를 작성하고 있다. 단체 여행에서 시작하여 적절한 숙박 정보까지 체류자들에게 상담해 드릴 예정이다. -- www.bonn-region.de/bonn-region-en/beethoven-travel-packages.html

Beethoven 의 생애활동 (일부)

BthvnDenkm        ©Song Ziyul - Bonn 시의 중심부에 세워진  Beethovendml 의 동상 

베토붼은 1770년12월16일 (12월17일에 유아세례을 받음), 신성로마제국 쾰른 대사교령 (현 독일령)의 본 (Bonn)에서 아버지 요한 (Johann (1740–1792)과 궁정 요리사의 딸인 마리아 막달라 (Maria Magdalena Keverich in 1767 결혼)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베토붼은 아버지로 그의 재능을 인정받아 과중한 교육을 받았으며 1778년(7살)에 쾰른의 연주회에 출연했고, 11살 때 오페라 작곡가이며 피아니스트인 네-페 (Ch. G. Neefe) 에 사사(師事)되었다.  

More - Bonnwww.eurasiatour.info/index.php/en/germany/culture/151 

1787년에 뷔인 (Wien)을 여행하여 동경한 모짜르트를 만났으나, 곧 사랑하는 어머니 마리아의 위독한 소식을 듣고 본으로 돌아왔다. 얼마 되지 않아 어머니는 (폐결획으로) 사망했다. 그 후 알코올 의존증으로 실업이 된 아버지를 대신해서 동생들을 돌보느라, 고통스런 나날을 보냈다. 그러나 이때에 후원자가 있었다. 귀족의 가정 Breuning으로 가정교사의 자리를 얻었다.    

1792년7월, London에서 Wien로 돌아가는 도중에, 본을 들린 하이든 (Joseph Haydn) 에 그의 재능을 인정 받아 제자로 들어가는 허락을 받았다.   그래서 이 해 11월에 뷔인으로 이주했다. 그의 음악 출세의 시작으로 베토벤은 처음 피아노 거장으로 자신을 위해 이름을 날렸다. 그의 강한 점은 악기에 대한 자유로운 즉흥성과 환상이었다. Bonn에서 Vienna로 이주한 후, 그의 재능은 곧 합스부르크의 메트로폴의 가장 높은 사회원으로 이끌었다. 1896년에 베토벤은 Prag, Dresden, Leipzig, Berlin을 여행했다. 이 때 프로이쎈의 왕과 왕자 Louis Ferdinand를 만나게 된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완전히 마비로 악화된 청력(聽力) 상태는 피아니스트로서의 출세을 조기에 종식시켰다. 이 질병은 위기를 촉발시켰고, 베토벤은 1802년 하이리겐슈타트 유서(遺書) [Heiligenstaedter Testament]에서 증언했다.  즉 그는 의사의 조언에 따라, 1802년4월부터 10월까지 비엔나 외곽의 작은 오스트리아 마을 하일리겐슈타으 (Heiligenstadt)에서 자신의 상태를 밝히기 위해 살았다. 거기서 그는 청각 장애가 커짐에 따라 자살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기록하고 예술을 위해 그리고 예술을 통해 계속 살아가겠다는 결심을 기록한 것을 그의 형제들에게 보내는 [하일리겐슈타트 유서]를 썼다.

작곡가로서 시작은 귀의 문제로 고민했음에도, 고전파 양식에 충실히 밝은 활기에 찬 작품을 만들었다. 즉 그의 작풍(作風)은 하이든(J. Haydn, 1732-1809)과 모짜르트 (W. A. Mozart, 1756–1791)의 강한 영향하에 있었다고 지적하고 있다.

= = =

1804년에 교향곡제3번을 발표하는 것을 시작으로 그 후 10년간을 거처 중기를 대표하는 작품이 쓰여져서, 베토붼에 있어서 [걸작의 숲] (Romain Rolland에의한 표현)라 불리는 시기가 된다. 그 후 피아니스트겸 작곡가에서 완전히 작곡전업으로 옮긴다.

중기의 교향곡(Symphony)은 [minuetto]는 아니고 [scherzo, 스케르조]의 도입, 종래의 [소나타형식] (Sonata form)을 비약적으로 확대 (제3번, Third Symphony, Sinfonica Eroica), 선율의 기본이 되는 동기와 리듬의 철저조작(徹底操作) (제5, 7번), 표제적 요소 (제6번), 악장(樂章)의 연결 (제5, 6번), 5 악장형식 (6번) 등 혁신적인 기법을 고안해 내었다.  

작품은 고전파의 양식미(美)와 낭만주의(Musik der Romantik)를 아주 높은 차원에서 양립하고 있으며, 음악의 이상적 존재로, 이후의 작곡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1811년 자신의 [피아노협주곡 5번 황제] (Piano Concerto No. 5 (the "Empero”)의 연주에 실패한 후, 그는 학생 칼 체르니 (Carl Czerny)가 조연한 후, 1824년에 교향곡 9번의 초연을 지휘하기까지 그는 다시 청중 앞에서 공연하지 않았다.

1812 여름에 베토벤은 보헤미아의 휴양지 Teplitz(현재 체코의 서쪽에 위치)에서 Goethe 만난다.

이해에 베토벤은 그의 환경에서 여러 여성들과 많은 접촉을 가졌는데 그 중에. 유명한 것은, 그 아이덴티는 오늘날까지 설명되지 않았으나 [불멸의 연인]에게 쓴 1812년의 편지가 있다. 후보자의 한 사람으로 조세핀 브룬스빅 (Josephine Brunsvik)로 그녀의 딸 Minona이 베토벤과의 스캔덜에서 부상한 것일지 모른다.

청력의 저하에 반해서 베토벤은 점점 작곡에 집중한다. 다른 작곡가들은 흔히 자신들의 작품을 빨리 종이에 적는데 반해서 베토벤은 모든 악보를 위해 고로(苦勞)한다. 몇 번이고 뒤에 작곡을 하고 또 개선한다. 그의 광범위한 콘서트 작품은, 특히 그의 아홉 교향곡과 그의 피아노 작품, 특히 5편의 피아노협주곡과 32편의 피아노소나타에 의해서 구별된다. 이외에 바이올린 콘서트, 오페라 피델리오(Fidelio), 미사 졸렘니스 (Missa solemnis), 많은 실내악 작품도 만들었다. 베토벤은 후세를 위해 지속적인 음악작품을 남기라는 그의 주장에 부응해서 살아왔다. 그의 인기는 끊어지지 않고, 오늘날 그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연주되는 작곡가 중의 한 명이다.

1818년의 두 번째 위기때에는 후기의 서곡집에 대표되는 것처럼 스럼프 (slump)에 빠졌으나, 호모포니 (Homophony)의 전성이었던 당시에 있어서 바흐의 유산 [대위법, Kontrapunkt]   폴리포니 (polyphony)를 연구했다. [대위법對位法]은 중기에 있어서도 부분적으로 사용되었는데 대대적으로 취입하는 것에 성공해서 위기를 넘었다. 만년의 현악4중주곡, [피아노 소나타], [미사 솔레니움 = 장엄미사, Missa solemnis], [교향곡 제9번, Ninth Symphony] 등이 후기의 대표작들을 작곡했다.

1824년 그의 교향곡9번의 초연이 끝남에, 그는 청중의 격동의 박수를 보기 위해 주위를 돌려야 했다. 왜야 하면 그는 청중들의 박수도 오케스트라도 들을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그의 난청은 그가 음악을 작곡하는 것에 방해되지 않았으나, 콘서트를 연주 하는 것은 (수입원이었으나) 점점 더 어려워졌다.

1826년12월에 폐염에 더해서 황달 등 병상(病狀)이 급격히 악화되어 이후 와병 상태가 되었다. 병상 중에 10번째의 교향곡에 착수하나, 미완성으로 다음해 1827년3월26일에 간경변( 肝硬変)으로 56년의 생애를 끝내다. 그의 장례식에는 2만명의 사람들이 참가 했으며, 슈베르트(다음해에 사망)도 참가했다고 한다.

= =

작품 목록 / https://ko.wikipedia.org/wiki/루트비히_판_베토벤의_작품_목록  (한글)
자료 출서: Wikipedia에서 

= = = 

2000 Bach, J. S. / www.eurasiatour.info/index.php/germany/music/155

Bach, C.P.E. (1714-1788)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germany/music/84

Handel, G. F. (1685-1759)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germany/culture/135

Haydn, J. (1732-1809)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austria/music/109 

Lehar, F. (1870-1948)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europe/music/169 

Liszt, F.  (1811-1886)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austria/music/219

Mahler, G. (1860-1911)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europe/culture/218

Mendelssohn, F. (1809-1847)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germany/music/139  

Schumann-W.C. (1819-1896)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germany/music/240 

Schumann, R. (1810-1856)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germany/music/240   

Wagner, R. (1813-1883)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germany/music/296 

2019 Schumann, Clara / www.schumann-zwickau.de/de/04/clara_schumann.php 

Musikermuseen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germany/music/140

= = 

More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germany/culture/151-bonn

자료의 출처 일부 - Wikipedia (Google)

= = =

작성자: 송지열 (Ziyul Song) / www.eurasiatour.info.

Facebook / www.facebook.com/pages/EurasiatourInfo/122944391155017

Facebook / www.facebook.com/ziyul.song

.

.

.Burgenland (부르겐란트) –  다양한 매력의 관광 주

        ©SongZiyul - 아이센슈타트에 있는 에스터하지 궁정

Burgenland [부르겐랕트] 주(州)는 오스트리아(Austria)의 동부에 위치하며 즉 북쪽은 슬로봐키아(Slovakia), 동부는 헝가리(Hungary), 남부는 슬로베니아(Slovenia) 그리고 서쪽에 니더외스터라이히(Niederösterreich)와 슈타이어마르크(Steyermark)에 접하고 있는 면적은 3‘981 km2, 인구는 약 30만 명을 갖는 작은 주의 하나이다. 그러나 주는 북부(北部), 중부 (Mittelburgenland) 및 남부 부르겐란트로 구분하고 있으며 알프스 산맥의 최후의 높이인 구릉지대에서 헝가리에 계속되는 평원(平原)과 호수 및 늪지대를 점하고 있는 주이다. 예부터 헝가리와의 결부가 강하며 민가의 양식과 향토 의상에도 독특한 취향(趣向)을 나타내고 있다. 이 외에 음악으로 유명하며 작곡가 프란츠 리스트가 태어난 곳이며 또는 요셉 하이든이 활약한 주이다. 또한 이 주는 [에스터하지 후국(侯國)]의 영향을 많이 받은 지역인데 1921년에 국민투표에 의해서 오스트리아에 속하게 된 주이다. 포도 산지와 와인 생산지로 유명하다. / www.burgenland.info/en   

Eisenstadt (아이센슈타트) – 부르겐란트 주의 주도

[아이센슈타트]에는 민족대이동 시에 게르만계의 주민, 800년경 칼 대제하의 프랑크 왕국의 령역에 들어 갔으며 바이에른 인들의 이주가 시작되었다. 1118년에 [„castrum ferrum“ (철의 성)]으로 처음으로 문헌에 나타났다. 제1차 세계대전까지는 헝가리 왕국의 일부였다. 1921년에 토리아논(Trianon)과 산-제르만(Saint-German)조약에의해서 오스트리아의 일부가 되었다. 1925년부터 부르겐란트 주의 주도가 되었다.    

여기에는 알려진 에스터하지(Esterházy) 후작의 궁성이 있는 도시며 명소들이 여러 곳 있다. 즉 에스터하지 궁전, 대성당 (Domkirche), 시 청사(Rathaus), 하이든이 안장되어 있는 베르크키르헤 (Bergkirche),  하이든박물관,  유대인박물관 등이 있다. 

에스터하지 궁성에  [콘서트 홀 [Haydnsaal]을 들여서 설명을 들여서 건물의 유래와 역할에 대해서 설명을 들었으며 이어서 궁성 건물 내의 전시장 그리고 건물 내에 설치한 최근 10월15일에 개회한 [Melinda Esterháazy] 전시장을 돌아보았다. www.esterhazy.at 

오찬은 유명한 건축가의 이름을 딴 식당 [Restaurant Henrici] (www.henrici.at )에서 하였다.  점심식사 후에 시내 명소 관광과 시내에 있는 하이든교회 (Haydnkirche)를 방문했다. / Eisenstadt Tourismus / www.eisenstadt-tourismus.at 

= =.

에스터하지(Esterházy) 후작

에스터하지(Esterházy) 후작가 (家)의 유래는 원래 헝가리 왕국의 북쪽에 있는 갈란타 (Galanta, 현재 슬로봐키아 남서부에 있는 한 도시)에 있었던 씨족 이었다. 일족은 에스터하지 니코라스 (Esterházy Nicolas) 백작 (1583-1645)과 아들 에스터하지 파울 (Paul, 1635-1713) 후작 대에서부터 태두한다. 

1626년에 니콜라스는 백작의 지위를 , 후에  1712년에 에스터하지 본가는 후작의 지위를 받는다.  에스터하지가의 성공은 착실한 토지의 축적과  캐톨릭교회와 합스부르크 황가의 충성에 기인한다.

헝가리는 일관해서, 때로는 반란과 혁명으로 (1848년의 혁명)을 일으켜서 오스트리아 지배에서 해방을 요구하였으며, 최종적으로는 제1차 세계대전 말기에 독립을 성취하게 된다.

그러나 에스터하지 후작 들은 시종일관으로 합스부르크 황가에 충성을 서약하고 몇 번이고 중대한 국면을 맞을 때, 합스부르크 가에 큰 공헌을 해주었다. 1683년의 오스만 제국에 의한 비인(Wien)의 포위와 1809년의 나폴레옹에 의한 빈 점령 등이다.

이 일가는 3가지의 방법으로 재산을 얻었다. 대항혁명에 있어서 저항의 토지 재분배, 오스만제국에 정복된 토지 (오스만제국령 헝가리) 재분배, 그리고 성공한 결혼의 상속 등이었다.  이 땅의 태반은 오늘날의  오스트리아,  슬로봐키아, 헝가리까지 넓혀졌다.  이 일족은 합스부르크 제국 최대의  대지주가 되었으며 한 때는 오스트리아 황제의 소득을  능가하는데까지 간적이 있다.  그래서 여러 곳에 궁성들을 건축하였으며 보물 들을 수집했고 문화를 장려했다.            

Esterházy 가(家)와 하이든 (Franz Joseph Haydn)

교향곡의 아버지라 불리는 유명한 작곡가 하이든은 에스터하지가에 악장으로 임명된다. 즉 1761년에 하이든은 에스터하지 미클로스 (Esterházy Miklos)에 고용되었으며 후작의 후계자 그의 손자까지 오래 동안 (1769년까지) 활동했다. 즉 요셉 하이든과 에스터하지 후작과의 유럽 음악사의 관계는 분리할 수 없는 사이이다. 그러나 니코라스 후작 1세 아들은 음악에 거의 관심이 없이 이름뿐인 악장이되여 여행지 영국에서 태반을 보낸다. 안다르는 수년 후에 몰하고 다음의 후작 때 다시 악장으로 임명되여 주로 미클로스 부인으로 하이든의 친구인 마리아 요셉 헤르메기도 (1768-1845) 성 축일 미사곡을 매년 작곡했다. 노령이 된 하이든은  1809년 그의 병으로 몰하기까지 계속했다.  

하이든과 연관된 도시에서는 매년 여러 형태의 음악제가 개최되고 있다. 즉 아이센슈타트의 궁성에서는 1년에 100회, 그리고 Fertoed 의 Esterházy 궁성에서는 60회의 콘서트가 거행되고 있다. / www.haydnfestival.at/haydn_de

= = =       

음악 (Music)

하이든 (Haydn, Josef, 1732 ~ 1809)

1761년에 파울 안톤 에스터하지 (Paul Anton Esterhazy) 후작의 악단의 부 악장에 취임해서 에스터하지 궁성이 있는 부르겐란트 주의 아이센슈타트로 옮겼다. 베르크교회 (Bergkirche)의 옆에 있는 음악가의 집에 살게 되며, 그는 대부분의 생애를 에스터하지 가를 위해 일하게 된다. 파울 안톤 후작의 후계자 인 니콜라우스(Nikolaus) 1세는 하이든의 경제적 지원자가 되었으며 하이든에 있어서 여러 면으로 옹호자가 되었다. 1766년에 악장인 그레고르 요셉 웨르너(Gregor J. Werner)가 죽음으로 하이든이 그 지위를 인계 하게 되었다. 이 승진에 의해서 급료도 늘어나서, 그 해 하이든은 아이센슈타트에 집을 샀다. 이 집은 오늘도 아이센슈타트의 하이든갓세 (Haydngasse) 21에 있으며 [하이든 박물관]로 되어 있다. 니콜라우스 1세는 하이든에 많은 곡을 의뢰해서 훌륭한 곡을 많이 작곡하였다. 이렇게 하여 작곡가 하이든은 새로 재능이 개화 되여 그의 이름은 세계적으로 알리어 지면서 파리, 마드리드, 뉴욕과 그 외의 대도시에서 그의 곡이 연주 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1790년 하이든의 지원자였던 니콜라우스 1세가 죽은 후에 후계자로부터는 명예악장이라는 칭호를 받고 그 직을 물러나 비엔나에서 살았다. 즉 30년간 이곳에서 활동하였다. 이로서 이 도시는 하이든과 끊을 수 없는 관계를 맺고 있다. 하이든의 묘는 산상교회 (Bergkirche)에 안치되어 있다. 언덕 위에 있는 이 교회에는 1932년에 에스터하지 후작이 하이든의 묘를 건립하고, 뷔인의 악우 협회가 소장하고 있던 하이든의 두부를 제공 받아 드디어 1954년이 되여서 대 작곡가의 유골이 여기에 매장되었다. Eisenstadt 에는 매년 [하이든의 음악제]가 개최된다. / www.haydnfestival.at

More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austria/music/109-haydn

.

리스트 (Franz Liszt, 1811~ 1886)

프란쯔 리스트는 1811년10월22일 오스트리아의 부르겐란트 주 (당시 헝가리)의 라이딩(Raiding)에서 태어났다. 라이딩은 현재 동부 부르겐란트 주의 중부에 위치하고 있다. 리스트는 여섯 살 때 아버지로부터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했고, 벌써 9살 때 첫 콘서트를 가졌다. 이어서 비엔나에서 교육을 받기 위한 장학금을 받았다. 열두 살이 되던 1822년 12월 데뷔했다. 칼 체르니는 리스트의 첫 정식 피아노 교사이자 마지막 스승이었다. / www.lisztzentrum.at

리스트는 그의 공부를 끝내기 위해 1823년에 자기 양친과 함께 파리로 옮겨서 거기서 그는 벌써 젊은 피아노 연주자로 격찬을 받았다. 영국과 프랑스에 연주 여행을 한 후에 그는 1830년까지 파리에 체류했다. 그러나 아버지 아담 리스트가 세상을 떠나자 리스트는 큰 충격을 받았으며, 잠시 성직자가 되고 싶다는 희망을 비쳤다. 1832년 천재 바이올린 주자 파가니니 (Paganini)의 공연에 다녀온 후 리스트는 최고의 피아니스트가 되기로 마음먹고 매일 10시간이 넘도록 연습을 했다고 한다.

1847년에 리스트는 바이마르(Weimar)의 궁정에서 카펠마이스터(Kappelmeister) 즉 악장으로 일하게 된다. 여러 해 동안 이곳에서 활동하였다. 

리스트는 1861년 로마로 옮겼다. 1865년 리스트는 예전의 희망대로 로마 가톨릭 성직자가 되어 교회음악 작곡에 헌신했다. 리스트는1869년부터 즉 그의 만년에는 로마, 부다페스트 및 바이마르에서 활동하였다. 1875년에 그는 부다페스트에 있는 헝가리 음악 아카데미의 회장으로 임명되어서 음악을 가르쳤다.

그의 둘째 딸 코지마가 바그너와 결혼하면서 개신교로 개종하자 리스트는 몇 년 동안이나 코지마와 연락을 하지 않았다. 그러나 후에 코지마와 만나게 되고, 1886년7월31일에는 리스트는 딸 코지마의 품에 안겨 폐렴으로 독일 바이로이트에서 세상을 떠났다.   

More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austria/music/219-f-liszt

 ©Burgenland Tourismus  - [St. Margarethen 야외 오페라극장]의 야경 

Opernfestspiele St. Margarethen (샹트 마르가르텐 오페라 음악제)

아주 수준 높은 야외 오페라 축제로 야외 음악제로 유럽에서 이탈리아의 베로나 (Verona)와 오스트리아의 브레겐스 (Bregenz) 다음으로 3번쩨로 크며 좌석이 약 4‘800석이다. 처음에는 작은 규모로 시작하였으나 지금은 시설이 크게 현대화 되였으며 매년 7주간이상 거행되었고 이제까지 총 관람자는 150만 명이 넘는다고 한다.

Seefestspiele Moerbisch (뫼르비쉬 호수 음악제) : 세계최대의 오페레타 음악제로 매년 거행되는데 2009년은 7월 9일부터 8월23일까지 약 7주간에 거처 프레데릭 뢰붸(Loewe)작인 [My fair Lady]가 연주되었다. 2013년7월9일부터 8월22일까지 [Eine Nacht in Venedig]이 공연된다.

더 자세한 정보 / www.seefestspiele-moerbisch.at / www.moerbisch.at

= = =

[오스트리아 관광홍보공사]의 취리히 사무소와 [부르겐란트 주 관광국]의 협동으로 3박4일의 일정으로 마련된 투어에 참가한 투어에 초청되었다. 이 투어를 위해 [부르겐란트 관광국]의 미디어 책임자가 전 루트를 수행했다.

오스트리아 홍보사 (Oesterreich Webung) / www.austria.info

브르겐란트 광광국 (Burgenland Tourismus) / www.burgenland.info/en  

= = =

와인 (Wine)의 주요 산지

 ©SongZiyul  - J. Heinrich포도원 내에 마련한 만찬용 야외 식탁의 모습

[Burgenland] 주(州)는 오스트리아의 동부에 위치하며 즉 북쪽은 슬로봐키아, 동부는 헝가리, 남부는 슬로베니아 그리고 서쪽에 니더외스터라이히와 슈타이어마르크에 접하고 있는 면적은 3‘981평방킬로미터, 인구는 약 30만 명을 갖는 작은 주의 하나이다. 그러나 주는 북부(北部), 중부 (Mittelburgenland) 및 남부 부르겐란트로 구분하고 있으며 알프스 산맥의 최후의 높이인 구릉지대에서 헝가리에 계속되는 평원(平原)과 호수 및 늪지대를 점하고 있는 주이다. 예부터 헝가리와의 결부가 강하며 민가의 양식과 향토 의상에도 독특한 취향(趣向)을 나타내고 있다. 이 외에 음악으로 유명하며 작곡가 프란츠 리스트가 태어난 곳이며 또는 요셉 하이든이 활약한 주이다. 또한 이 주는 [에스터하지 후국(侯國)]의 영향을 많이 받은 주이다. 포도 산지와 와인 생산지로 유명하다.  / www.burgenland.info 

부르겐란트(Burgenland) 주는 오스트리아의 4대 포도 재배지역에 속하며 주요한 역할을 한다. 이 주에는 남부 부르겐란트 (Südburgenland), 중부 부르겐란트 (Mittelburgenland), 노이시드러 호수 (Neusiedlersee) 그리고 노이시드러 호의 산 언덕 지역 (Neusiedler-Hügelland)으로 세분된다. 브르겐란트 주의 주요 생산으로 포도 재배와 와인 생산를 꼽을 수 있으며 이는 관광객의 매력이 되고 있다.

현재 주의 수도인 아이센슈타트 (Eisenstadt)는 하이든의 군주로 알려진 대 귀족 에스터하지 후작의 궁성 도시이다. /  Eisenstadt 의 관광국 / www.eisenstadt-tourism.at 

이번에 [오스트리아 관광홍보공사]의 취리히 사무소와 [부르겐란트 주 관광국]의 협동으로 3박4일의 일정으로 마련된 투어에 스위스에서 4명의 기자들과 수행원 1명이 참가한 투어에 초청되었다. 이 투어를 위해 [부르겐란트 관광국]의 미디어 책임자가 전 루트를 수행했다.

오스트리아 홍보사 (Oesterreich Webung) / www.austria.info

브르겐란트 광광국 (Burgenland Tourismus) / www.burgenland.info/en  

취리히 - 비엔나 간교통편: Austrian Airlines /  www.austrian.com 

= = =

Deutschkreuz (도이취크로이츠)

[도이취크로이츠] 시는 중부 부르겐란트의 포도 재배지역의 중심지로 와인 양조장들이 많이 모여 있는 부촌의 이상을 주는 소 도시었다. 최근에는 관광의 발달과 이에 연관된 문화 시설와 문화 행사의 프로그램을 확장하고 있다. / www.deutschkreutz.at  

7월18일과 19일 2박을 한 와인 양조장의 새 건물에 5개 2인용 방이 마련되어 있는 호텔에 투숙하였다. 이 호텔에 도착하여 Welcome Drink로 3 종류의 와인들을 시음하였다. / Weingut Gager, A-7301 Deutschkreutz / www.weingut-gager.at 

Burg Lockenhaus에 있는 [기사(騎士)성 / Ritterburg]을 방문하여 전문 안내원의 안내로 약 2시간의 관람을 하였다. 이 기사성은 12세기에 축성이 되어서 800년의 역사를 가지며 현제 [에스터하지 재단]에 속해 있고 성의 일부 건물은 고성 호텔로 이용되고 있다. / www.ritterburg.at

오찬은 Deutschkreutz에 돌아와서 야외 포도원 내에 마련된 피크닉 용 의자에서 이동 음식점이 마련한 여름용 스우프과 센드윗치 그리고 후식으로 여러 종류의 와인 맛을 보면서 즐거운 시간을 가졌다. 식사 후에 시내에 있는 이 양조장이 갖고 있는 시설들을 돌아보았다.  이 양조장을 오랜 전통을 갖고 있으며 38ha의 포도원을 가진 중간 크기의 포도 농가로 재배 종을 주로 레드와인 용의 [Blaufraenkisch]이다. 양조장은 현재 딸이 운영권을 갖고 경영하고 있었다. 시음장 (試飮場) 및 판매장의 시설도 아주 좋은 인상을 주었다. 여러 번 [와인 상]을 수상 받았다고 한다.  / www.weingut-heinrich.at  

숙소의 이웃 포도 재배 지역에 있는 식당에서 이 곳의 특식과 여러 와인을 시음하면서 저녁식사를 즐겼다. 이 식당에서 운영하는 관광객 용 아파트도 부설로 운영하고 있었다. / www.gasthof-zur-traube.at

만찬 후에 버스로 약 45분가 떨어져 있는 Kobersdorf에 있는 성 야외 극장을 방문하여 코미디 연극을 관람하였다. 이 야외 극장은 성 안의 뜰을 이용하여 만든 850석의 좌석을 가진 꾀 큰 극장으로 방문객은 주로 이 지방과 이웃 주의 거주하는 관람객이었다. 공연된 작품을 파리를 무대로 하는 [Die Dame vom Maxim]이었다.  / www.schlossspiele.at

이외에 이 주에는 여러 가지 [여름 페스티벌]이 개최되고 있다. / www.kultur-burgenland.at

 셋째 날 일정은 요새의 성 [Burg Forchtenstein]로 아주 큰 성이며 다양한 예술품들이 보장 전시되고 있으며 무기 수집품은 개인 소유로는 유럽에서 최대의 것이라고 했다. 안내자의 인도로 약 2시간을 돌아보았다. / www.esterhazy.at

= = =

 ©SongZy - 호반의 [Restaurant Katamaran]에서 본 호수의 풍경과 두 수행원

Neusiedler See (노이시드러 호) –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록

아이센슈타트의 동쪽 가까이에 있는 이 호수의 일대는 UNESCO 세계유산 (World Heritage Site)에 지정되어 있다. 길이 36km, 폭이 7 ~ 15km 즉 약 300 km2 넓이를 가진 이 호수는 중부 유럽에서 가장 큰 유일한 대초원(草原)의 호수이다. 호수의 깊이는 1.70m 이하로 수상 스포츠 특히 가족들을 위한 천국이다. 300종 이상의 다른 조류와 수많은 식물에 서식처를 제공해서 세계적으로 주요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현재 WWF의 보호 하에 있다. 1993년에 [국립공원 지대 [Nationalpark Neusiedler See – Seewinkel]이 만들어졌다. 벌써 1991년 이후에 헝가리령에는 [Fertoe-Hansag Nemzeti Park]가 있었다. 이 보호지역은 오스트리아의 국립공원뿐만 아니라 또한 IUCN 국제적으로 인정이 되어있다. 오스트리아쪽의 방문객 정보센터는 일미츠(Illmitz) 북쪽에 위치한다. / www.neusiedlersee.com 

이 지역을 편리하고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카드 제도가 마련되어 있다.

Neusiedler See Card / www.neusiedlersee.com/de/service/nsc

= =

Rust (루스트) – 와인과 두루미의 도시 

 ©SongZiyul  - Rust의 상징인 두르미의 둥지가 잘 보전되고 있는 집들의 모습

16-18세기의 르네쌍스 및 바로크 시대의 민가들이 남아있다. 인구 1‘700명으로 오스트리아의 [제일 작은 도시]이다. 도시 전체가 문화재 보호의 지정을 받고 있으며 완전히 보존된 도시로 유럽의 모범이 되어있다. 매년 두루미들이 굴뚝이나 지붕 위에 둥지를 만들어서 번식하는 오스트리아 최대의 집단으로 유명하다. 또한 루스트는 고급 포도주 생산지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 [오스트리아 텔레비 방송국]과 [독일 텔레비 방송국]의 합작으로 만든 [양조가의 왕]이란 제목을 영화를 제작하여 시리즈로 방영하였다. / www.rust.at

 이 곳에는 와인 전문가의 양성 기관으로 널리 알려진 와인 아카데미 [Weinakademie]가 있다.  www.weinakademie.at/english.php  

Rust 근교에 있는 유명한 야외 오페라 음악제가 개최되는 St. Margarethen으로 버스로 이동하였다.

아주 수준 높은 야외 오페라 축제로 야외 음악제로 유럽에서 이탈리아의 베로나 (Verona)와 오스트리아의 브레겐스 (Bregenz) 다음으로 3번쩨로 크며 좌석이 약 4‘800석이다.  처음에는 작은 규모로 시작하였으나 지금은 시설이 크게 현대화 되였으며 매년 7주간이상 거행되었고 이제까지 총 관람자는 150만 명이 넘는다고 한다.

투숙한 호텔 [Seehotel Rust]는 호반에 위치하는 4성급 호텔로 이 도시에서 가장 훌륭한 호텔이며 휴양객 들이 선호하는 호텔이었다. / www.seehotelrust.at

= =

Eisenstadt & Sopron / www.eurasiatour.info/index.php/austria/other/127

= = =

작성자 송지열 (Song Ziyul) / www.eurasiatour.info

Facebook / www.facebook.com/pages/EurasiatourInfo/122944391155017

.

 

 .

Haydn 2009 - 하이든 기념      (c) Wien Tourismus  -  쇤브른 궁성과 젋은 바이올린 연주자 Lidia Baich

하이든 (Joseph Haydn, 1732-1809) 100곡 이상의 교향곡을 작곡해서 [교향곡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이 외에 많은 실내악, 교회음악, 오페라 그리고 유명한 [천지창조 Schöpfung](1798), [계절 Die Jahreszeiten] (1801) 등 오라토리오 풍의 명작을 작곡하였다. 2009년은 [하이든의 해]로 서거 200주년을 기념해서 그의 출생지인 로라우(Rohrau)와 그가 활동한 아이센슈타트 (Esisenstadt) 및 뷔인(Wien) 그리고 이 외의 여러 곳에서 그에 관한 많은 음악 행사가 거행된다

소년시절

요셉 하이든은 1732331일 지금의 니터외스터라이히 주와 브르겐란트 주의 경계 가까이에 있는 로라우 (Rohrau)에서 수레를 만드는 아버지와 요리사 (로라우성의 바라흐 백작에 고용된)의 어머니 사이에 태어났다. 하이든의 집안은 결코 풍부하지는 않았으나, 적은 수입으로 요셉을 포함한 11명의 아이들을 양육하였다. 요셉 하이든은 6살부터 하인부르크 (Hainburg, 로라우에서 약 10km)에 있는 학교에 다니기 시작했다. www.niederoesterreich.at

그 후에 비엔나의 성 슈테판 대성당의 소년합창단의 일원이 되었으며 변성기까지 독창 자로 활약하였다

그 후 무명의 음악가로서 일하기 시작한 하이든의 생활은 아주 빈곤하였다. 비엔나의 콜 마르크트에 있는 미뷰에라 하우스의 난방이 없는 지붕의 방에서 살며 작곡의 일을 했다. 작곡의 일은 주로 성악 교사 니콜라 포르포라 (N. Porpora)로부터 받았으며, 그의 대가로 포르포라로부터 작곡, 성악, 이탈리아어의 레슨을 받았다. 하이든을 귀족사회에 소개한 것도 포르포라이었다. 이것을 기회로 하이든은 위촉작품을 쓰기 시작했다. 1757년에서 1758년까지 니더외스터라히주의 봐인취어를성 (Schloss Weinzierl)의 퓌른베르크 백작 (Grafen Fuernberg) 를 위한 현악 4중주를 쓰면서 동시에 체코의 필센(Pilsen) 가까이에 있는 루카벡(Lukavec)의 모르친(Morzin)백작 가의 악장에 임명되었다. 이 시기 하이든은 마리아 안나 켈러 (Maria Anna Keller)와 결혼을 하였는데 그녀는 하이든의 음악에 대해서 이해가 적어서, 하이든의 결혼생활은 원만하지 못하였다고 전하고 있다. 이들에게는 아이도 없었다. 하이든과 관계가 있었던 가수 루이지아 폴체리 (Luigia Polzelli)의 아이들이 하이든의 아이가 아닌가 하는 설도 있다.

에스터하지 (Esterhazy) 가와 만남

하이든의 생활은 에스터하지 가와 만남에 의해서 대단히 변했다. 1761년 하이든은 파울 안톤 에스터하지 (Paul Anton Esterhazy) 후작의 악단의 부 악장에 취임해서 에스터하지 궁성이 있는 부르겐란트 (Burgenland)주의 아이센슈타트로 옮겼다. 베르크교회 (Bergkirche)의 옆에 있는 음악가의 집에 살게 되며, 그는 대부분의 생애를 에스터하지 가를 위해 일하게 된다. 1762년에 서거한 파울 안톤 후작의 후계자 니콜라우스(Nikolaus) 1세는 하이든의 경제적 지원자가 되었으며 하이든에 있어서 여러 면으로 옹호자가 되었다. 1766년에 악장인 그레고르 요셉 웨르너(Gregor J. Werner)가 죽음으로 하이든이 그 지위를 인계하게 되었다. 이 승진에 의해서 급료도 늘어나서, 그 해 하이든은 아이센슈타트에 집을 샀다. 이 집은 오늘도 아이센슈타트의 하이든갓세 (Haydngasse) 21에 있으며 [하이든 박물관(Haydnmuseum)]로 되어 있다. 니콜라우스(Nikolaus) 1세는 하이든에 많은 곡을 의뢰해서 하이든은 여기에 응해서 많은 훌륭한 곡을 작곡하였다. 이렇게 하여 작곡가 하이든은 새로 재능이 개화 되여 그의 이름은 세계적으로 알리어 지면서 파리, 마드리드, 뉴욕과 그 외의 대도시에서 그의 곡이 연주 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1790년 하이든의 지원자였던 니콜라우스 1세가 죽은 후에 후계자인 안톤 후작으로부터는 명예악장이라는 칭호를 받고 그 직을 물러나 비엔나에서 살았다. 즉 일찍 연금생활을 하였다. www.burgenland.info / www.haydnfestival.at 

     (c) Burgenland Tourismus   -  Esterhazy 궁성 건물 내에 있는 [하이든 홀]

영국(England) 여행

독일의 바이올린 연주자로서 런던에서 오케스트라를 지휘하며 성공한 J.D. 잘로몬의 권유로 영국을 건너가게 된다. 연금생활에 들어간 하이든은 영국여행을 계획해서 179111일 도바 해협을 건냈다. 그의 콘서트는 영국에도 열광적으로 환영되어 박수갈채를 받아 신문에도 격찬되었다. 더욱 하이든은 영국의 왕후귀족과 접촉이 되었으며, 옥스포드대학에서 명예박사의 칭호를 받는 등 대성공릉 거두었다. 친구인 모찰르트가 그의 어학 능력으로 영국의 여행은 무리할 것이라고 하이든에 이야기할 때 하이든은 [자기의 어학은 음악]이다라고 한 그의 말대로 그의 음악은 전 세계사람들이 이해할 것이니 문제없다고 대답했다. 그의 말대로 영국에도 하이든의 재능은 인정되었다. 하이든은 후에 다시 1794년에서 1795년에 거처서 영국에 체재하였다

비엔나(Vienna)의 생활

1792년 영국에서 귀국한 하이든은 비엔나에 집을 구입했다. 이 주거는 지금에도 비엔나 6구의 [Haydngasse 19]에 있다. 하이든은 이후 대부분의 시간을 비엔나에서 지냈다. 하이든의 연금생활로 좇은 에스터하지 후작이 사망하고 그의 후계자인 니콜라우스2세가 다시 악장으로 하이든을 고용했으나, 하이든은 비엔나에 머무른체 작곡활동을 계속하였다.

19세기에 들어가면서 그의 몸은 쇄약해져서 병에 들면서 1809, 나폴레옹군이 비엔나를 침입한 직후, 그는 세상을 떠났다. 그는 최후의 해, 비엔나 시에서 명예시민의 칭호를 받았다. www.wien.info

= =

2010 Mahler, G. (1860-1911)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europe/195  

2011 Liszt, F.  (1811-1886)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austria/219

2011 Mahler, G. (1860-1911)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218

2012 Mendelssohn, F. (1809-1847)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139     

2013 Wagner, R. (1813-1883)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296

2014 Bach, C.P.E. (1714-1788) / www.eurasiatour.info/index.php/en/84

= = =

작성자: 송지열 (Song Ziyul) / www.eurasiatour.info

Facebook / www.facebook.com/pages/EurasiatourInfo/122944391155017

.

 

Articles View Hits
4970616
Go to top
JSN Epic 2 is designed by JoomlaShine.com | powered by JSN Sun Framework